![]() |
모든 국민 대상 설 승차권 예매가 시작된 지난 8일 오전 서울역에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설 연휴 임시공휴일을 두고 “27일보다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지만, 정부는 기존 계획대로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14일 국무회의에서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의결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일 설 연휴 기간을 기존 3일에서 6일로 늘리기 위해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연휴 기간을 엿새로 늘려 가라앉은 소비심리를 진작시키고 내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월요일인 27일보다 금요일인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반론이 나왔다.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겠다는 본 취지에 맞게 날짜를 신중히 지정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가 발표한 27일보다는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는 게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정 구청장은 “많은 기혼 여성에게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노동 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31일에 몰려 있을 업무를 처리해야 할 사무직 노동자들의 부담도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명절 일정을 마치고 주말까지 휴식을 취하며 가족끼리 외식을 하거나 짧은 외출을 다녀올 가능성도 그만큼 커질 것이므로 소비를 촉진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의 취지에도 더욱 맞아떨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당초 정부도 내부 논의 과정에서 ‘31일 휴일’을 여러 방안 중 하나로 고민했지만, ‘27일 휴일’이 좀 더 장점이 많다고 최종 결론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월말 마감일 문제가 있다. 게다가 31일 마감이 필수적인 회사의 경우, 이날이 공휴일이라도 일부 직원은 ‘휴일 근무’에 동원될 가능성이 높다. 차라리 27일에 쉬는 것이 회사·근로자 모두에게 좋다는 논리다.
토요일에 일해야 하는 식당 등 자영업자들에게도 27일 공휴일 지정이 ‘긴 휴식’을 보장해 준다.
27일 휴무시 일요일(26일)부터 목요일(30일)까지 닷새를 연속으로 쉴 수 있지만, 31일 휴무이면 화요일(28일)부터 금요일(31일)까지 나흘 쉬고 토요일(2월 1일)에 다시 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귀성길 교통 분산도 고려했다.
귀경길 보다 귀성길이 많이 막히기 때문에 월요일에 쉬는 게 금요일보다 교통 분산 효과가 크기때문이다. 임시공휴일을 31일로 지정할 경우 27일에 출퇴근하는 근로자와 귀성객의 움직임이 겹쳐 교통이 혼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휴 뒤 휴일이 이어져야 며느리 부담이 줄어든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도 있다. 31일이 공휴일이면 시댁에 머물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