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하 없다’는데…한국과 디커플링 심화 우려

트럼프발(發) 인플레 재가열·미국고용 ‘깜짝 강세’

국채금리 ‘5% 공포’…일부 금리 인상 관측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미국의 금리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한 고율 관세와 감세, 이민정책 등으로 인플레이션 재가열 리스크가 커지는 와중에 미국의 고용이 ‘깜짝 강세’로 나타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낮출 것이란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내수 침체로 금리인하가 필요한 시점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면 한미 금리차가 확대돼 원화약세, 강달러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 ‘한미 금리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대목이다.

시장에에서는 연준이 올해 계획한 금리인하 횟수인 두차례가 아니라 아예 힘들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월가 대표 강세론자로 알려진 세계적인 투자 전략가 제레미 시겔 와튼 스쿨 교수는 최근 CNBC방송에 “연준이 올해 금리인하를 단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의 고용 강세를 짚었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의 12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25만6000명 ‘깜짝’ 증가했다. 실업률도 완전고용 수준인 4.1%로 전월(4.2%)보다 하락했다. 이는 미 의회예산국(CBO)이 추산한 자연실업률(4.4%)보다 확연히 낮은 수준이다.

시겔 교수는“미국의 12월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사실상 모든 금리인하 기대가 사라진 상황”이라며 “역사적인 패턴을 고려했을 때 장기 국채금리 상승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 이후 상승 중인 미국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13일(현지시간) 4.79%로 마감했다. 장중 4.807%까지 치솟으며 국채금리 5%의 공포를 부채질 했다. 국채금리 5%는 주식시장에서 채권시장으로의 자산이동이 시작되는 변곡점으로 여겨진다.

자산운용사 야누스헨더슨의 맷 페론 이코노미스트는 “10년물 금리가 5%를 찍으면 반사적으로 주식 매도세가 있을 것”이라며 S&P500이 10%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릴 필요가 없다는 의견에도 무게가 실린다.

200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는 “경제학자들은 이민자 추방, 관세 등의 정책들이 당장은 아니더라도 높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라는 데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하고 있다”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추가 금리 인하를 보류할 것이 명백하다. (심지어) 금리를 다시 인상해야 할 필요성을 느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인 미셸 보먼 연준 이사 역시 전날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정체한 가운데 경제 성장세와 노동시장 여건이 강한 모습이라는 점을 근거로 “지난해 12월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이 마지막 조처라고 생각했다”고 언급하며 “추가 금리 인하가 불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제프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현재 경제는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이라는 연준의 두 가지 목표에 거의 도달한 상태에 있다”며 “추가적인 완화나 긴축이 필요하지 않은 중립적인 상태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금리는 장기적인 적정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정책 변화는 점진적이고 데이터 기반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3월까지 다시 금리를 인하하려면 매우 나쁜 고용 보고서가 필요할 것”이라며 연준이 6월 추가 인하 후 9월에 마지막 인하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정목희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