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25% 수소버스로 전환
정부가 친환경 모빌리티의 중요한 축인 수소차 보급을 위해 올해 7200억원을 투입한다. 또 권역별 수소버스 정비센터를 설치하고 이달까지 전국 수소충전소에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수소차 보급은 2022년 1만대에서 지난해 4000여대로 급감했다. 이는 수소버스·충전소 안전문제로 인한 수소차 기피현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정부는 수소버스와 수소충전소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키로 했다. 권역별 수소버스 정비센터를 최소한 1곳 이상 확충하도록 유도하고, 이번달까지 전국 수소충전소에 대해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한 후 수소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실시간 감시 의무화 대상을 기체에서 액화수소로 확대하고 경보체계도 강화한다. 수소충전소 핵심설비에 대한 KS인증품목을 기존 3개에서 올해 5개로 확대한다.
차고지, 고속도로 휴게소, 터미널 등에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를 현재 56개에서 2027년 119개소까지 확대하고, 이동형 충전소 등 충전소 유형을 다양화하여 충전 편의성을 높인다. 이와 관련 올해 예산은 수소충전소 구축보조금 1963억원, 운영보조금 164억원이다.
또 2030년까지 수도권 광역버스(2600대)의 25%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수소 원료용 천연가스 요금 인하조치 연장 등 비용 절감을 지원하고 상용차 전용 연료전지, 수소버스 플랫폼 기술개발 등 경쟁력 향상을 지원한다.
고성능 수소버스 보급을 위해 성능에 따른 보조금도 지급한다. 수소연료보조금(3600원/kg) 상향 및 수소 원료용 천연가스 요금 인하 조치를 2027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미래모빌리티 생태계 소부장 기술력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배터리, 공급망 등 모빌리티 소부장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도 추친한다.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해 소부장 기술개발에 올해 433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관세 도입, 중국 공급망 배제 등 자동차 수출환경 리스크,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축소, 연비규제 완화 등 친환경차 정책 후퇴 우려 등 대외 불활실성에 민관 합동 대응에 나선다.
이와 함께 말레이시아 ·태국 등 FTA 협상 및 ODA 등을 통한 수출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해외완성차·국내부품기업 매칭 등 글로벌 공급망 편입도 지원하기로 했다. 배문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