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왼쪽) 개혁신당 대표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안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천하람 원내대표와 이주영 의원. 이상섭 기자 |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내홍을 겪고 있는 개혁신당의 갈등이 16일 허은아 대표 사퇴를 둘러싼 대립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기인 개혁신당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에서 “허은아 대표는 김철근 사무총장 재신임은 물론 지도부 총사퇴, 특임 기구 발족,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발족, 지도부 당원 재신임 투표, 심지어는 지도부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여론조사도 하지 못하겠다고 한다”며 “그 어떤 안도 받아들일 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수석 최고위원으로서 공식적으로 지도부 총사퇴와 새로운 특임 기구의 설치를 제안한다”며 “공관위를 만들어봐야 뭐 하느냐. 이준석만 비난하는 지도부로는 사람들에게 표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곧 당원소환제가 시작된다”며 “당권에 집착하는 폭군의 말로가 어떤지 역사가 알고 있다. 당원이 끌어내리기 전에 지도부가 스스로 총사퇴하는 결자해지, 정치적 결단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했다.
당원소환제는 당대표를 포함한 당직자가 당헌·당규 등을 위반해 당의 위신을 해치거나 존립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경우, 당원들이 소환해 파면할 수 있게 한 제도다.
이에 대해 조대원 최고위원은 “이준석 의원은 모 방송에 나가 ‘(당원소환제를) 당원들이 준비한다고 알고 있다’고 했다. 무책임함과 비열함이 묻어있는 답변”이라며 “본인이 뒤에서 다 조정하고 좌표를 찍고 기획하고 끌고 오고 있는데, 당원들이 준비한다는 분이 어떻게 대통령을 한다고 나서겠느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우리 당헌·당규 어디에 멀쩡한 대표를 끌어내리는 당원소환제를 하라고 나와 있느냐”며 “허 대표에게 당헌에 명시된 당원소환제에 해당하는 사안을 한 건도 찾지 못했다”고 했다. 개혁신당 당헌 7조에 따르면 당원은 법령 및 당헌·당규, 윤리강령 위반 등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당 대표와 선출직 최고위원을 대상으로 소환을 요구할 수 있다.
허 대표도 최고위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원소환제의 요건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며 “당헌·당규라는 절차와 원칙을 지켜가면서 진행했으면 좋겠다. 힘으로 법을 누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에는 ‘경질 논란’에 휩싸였던 김철근 사무총장과 류성호 사무총장 직무대리, 이주영 정책위의장과 허 대표가 임명한 정성영 정책위의장이 동시에 참석하면서 고성이 오갔다.
김 사무총장은 최고위 직후 “오늘 최고위 회의로 저는 사무총장 복귀하겠다. 당무에 복귀해 당을 정상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해임은 무효기 때문에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허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4·2 재보궐 선거를 대비해 공개 공천관리위원회를 꾸릴 것을 제안했다. 허 대표는 “다가오는 4·2 재보궐 선거는 개혁신당이 도약 중요한 기회다. 그러나 우리는 공천관리위원회조차 구성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투명한 공천을 위해 공관위원장 및 위원을 공개 모집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