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3년 10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신정아 자전 에세이 4001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신정아 전 교수가 자리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
[헤럴드경제=김보영 기자] 내란 수괴 등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구금돼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조사를 받은 가운데 과거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가 회고한 ‘검사 윤석열’에 대한 기억이 재조명되고 있다.
신정아 전 교수는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변양균 전 실장이 지난 2007년 신정아 스캔들로 공직에서 물러나며 이와 관련된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았다.
해당 사건은 당시 대검 중수부 검찰연구관 시절 관련 수사팀에서 활동했던 윤 대통령이 수사했다. 검찰은 신 전 교수를 상대로 예일대 박사학위 위조 과정과 정부·기업체 등의 각종 후원을 변전실장에게 부탁했는지 여부, 도피과정에서의 공범 여부 등을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 전 교수는 당시 사건에 대해 지난 2011년 자전적 에세이 ‘4001’에서 상세하게 털어놨다. 그는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자 얼굴을 붉히며 소리치고, 비아냥거리고, 손가락질 했다”며 “변양균이 권력을 이용해서 널 이용한 것이라고 이간질하며 이렇게 비협조적이면 평생 감방에서 썩게 하겠다고 했고, 나는 너무 무서워서 의자에 앉은 채로 오줌을 쌌다”고 적었다.
신 전 교수는 이어 “윤 검사는 나를 죽일 듯이 달려들었고 두통약을 먹고 정신을 놓아버렸다”며 “당연히 발부될 줄 알았던 영장이 기각되자 윤 검사는 미쳤다고 했다. 윤 검사는 다음 번에 쳐 넣을테니 너무 좋아하지 마라고 했다”고 말했다. 또 “검찰 조사를 겪으며 왜 분노와 수치심으로 살인사건이 나는지 자살은 왜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며 “구속 상태여서 자살 시도조차 어려웠다. 수치와 고통으로 차라리 사형 선고가 나길 바랐다”고 회고했다.
신 전 교수에 대한 검찰 수사팀의 강압수사 의혹은 2019년 윤 대통령의 검찰총장 인사청문회에서도 문제가 됐다. 당시 자유한국당 법사위원들은 윤 후보가 소속됐던 수사팀의 강압·회유 수사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 장관 등을 증인으로 신청하기도 했다.
다만 윤 대통령 측은 “신정아 씨 수사 과정에서 어떠한 강압수사도 없었다”며 “여느 수사와 마찬가지로 법과 원칙에 따라 적법절차를 지켜 수사했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한편 지난 15일 오전 체포된 윤 대통령은 곧바로 공수처 조사실로 이송돼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40분까지 10시간40분가량 조사를 받았다. 공수처는 피의자 조사를 위해 200여페이지에 달하는 질문지를 준비했으나 윤 대통령은 인정 신문을 포함한 모든 질문에 답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