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기부 장관 “AI 스마트제조 확산 적극 지원”

- 전기연·재료연 현장 간담회 개최


유상임(왼쪽 두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6일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하고 연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6일 한국재료연구원과 한국전기연구원을 찾아 현안 간담회를 열고 주요 연구시설과 기업 제조현장을 살펴봤다.

이번 연구현장 방문은 유상임 장관이 취임시부터 줄곧 강조해온 국가전략기술확보거점으로서 출연연의 역할과 변화하는 모습을 연구현장과 함께 공유·논의하는 한편, 국가지역 경제 견인을 위한 산업계 협력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관련 생생한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마련됐다.

재료연은 국내 유일의 소재전문 연구기관으로서 다른 기관과 차별화되는 첨단모빌리티·우주 등 첨단소재에서 국가적 거점이 될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우주·항공 등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극한소재 개발을 위한 실증연구기반조성사업을 통해 실용화 및 품질인증까지 원 스톱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씨티알, ㈜알멕 등 지역 소재 기업들은 재료연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을 확장해온 경험들을 공유하고 공정 개선 및 부품국산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전기연은 탄소중립 전원 확대와 AI기술 활용으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에 따라, 직류 기반 전력 계통 핵심기술 개발과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한 국가 전력망 최적화 솔루션 개발을 2029년을 목표로 한국전력·전력거래소·원자력연·에너지연 등 유관기관과 함께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 과제에 직면한 우리 조선업이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지속하도록 친환경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선박 추진시스템에 대해 ㈜삼현(전동기 구조), HD한국조선해양(선박건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기자재 국산화) 등 연구개발 협력체계를 소개하고 전기선박 초격차 기술확보를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선박전동화, 방산 등 주요기술 확보를 위해 기업이 과제기획부터 공동연구자로 참여하고 그 결과가 산업계로 실용화·상용화되는 기업협업형 정부연구개발과제가 늘어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하고, 지역기업들이 지방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유 장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스마트제조 기술을 도입 중에 있는 제조혁신 기업인 삼천산업(경남 창원 소재)을 방문했다. 유 장관은 기존의 육안 및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가전 부품(식기세척기) 품질검사 과정을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기업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품질검사 정확도 향상, 처리 속도 등 생산성 향상 성과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어, 디지털트윈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산경로, 공정별 부하율, 종합 생산성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최적의 생산 스케줄로 가동 예정인 공장을 직접 둘러보며 현장 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유 장관은 “출연연이 국제적 위상을 갖는 전략기술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장중심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면서 “중소기업의 생산 효율성 제고,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을 위해 AI·디지털 기반의 스마트제조 도입·확산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