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계엄비선’ 노상원, 방위사업에도 개입 의혹”

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 회의에서 주장
“김용현-노상원-여인형-김용군은 경제공동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내란극복·국정안정특별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16일 ‘12·3 비상계엄’의 ‘비선’으로 지목된 민간인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정부 방위사업에도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추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내란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12·3 내란의 핵심 주동자인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노상원, 여인형(방첩사령관), 김용군(전 대령) 등이 방위산업을 고리로 한 경제 공동체이기도 한 것으로 드러났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추 의원은 “2022년 말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의 영향력으로 국가정보원 예산 500억원이 육군 전자전 UAV(무인 정찰기) 사업 예산으로 편성 추진됐는데, 여기에 도입되는 기종이 일광공영이 국내 총판인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의 헤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통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가 무기체계 등 전력 사업을 총괄 운영하는데, 이 육군 전자전 UAV 사업은 정보작전참모부가 맡았다”며 “당시 육군 정보작전참모부장이 바로 여인형”이라고 덧붙였다.

추 의원은 “신형 UAV로 교체하면 700억원이 소요되고 구형 UAV는 500억원 정도 규모인데 어느 것을 도입할 지를 두고 갈등이 빚어지자 국방부가 감사와 조사를 진행했다”며 “국방부 조사본부서 오래 근무한 김용군 전 대령이 이를 무마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내란수괴와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군 부패에도 깊이 연루됐다”며 “어떻게 국정원 예산 500억원이 육군 정보예산으로 긴급 투입됐는지, 노상원은 일광공영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여인형은 정작부장으로 어떻게 사업을 조정했는지, 당시 감사·조사를 김용군이 무마한 게 맞는지 수사기관이 즉시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