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강화·기업 이익향상 걸림돌 분석
시장 전망치에 부합한 미국 물가지수 덕분에 ‘심리적 저항선’으로 불리던 연 5% 선을 향해 내달리던 미 국채 금리의 기세가 한풀 꺾였다. 하지만, ‘고(高)관세 정책’ 공언 등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자아냈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임박한 만큼 마음 놓긴 이르단 평가도 나온다.
국내에서도 미국의 완화적 통화 정책에 대한 기대 후퇴 대응책으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 카드를 꺼내든 만큼, 연초 훈풍이 불고 있는 증시 등 ‘위험 자산’을 향한 투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집중된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예상치 컨센서스(평균치)에 완전히 부합했다. 근원지수(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의 경우엔 전년 동월 대비 3.2% 오르며 예상치보다 0.1%포인트 하회했다.
14일(현지시간) 발표한 12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3.3%), 전달 대비(0.2%) 모두 다우존스 예상치(3.5%, 0.4%)를 하회한 데 이어, CPI까지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면서 그동안 천정부지로 치솟던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빠르게 내렸다.
이날 미 국채금리는 연 4.665%로 장중 4.809%까지 치솟았던 전날(4.792%)과 비교했을 때 하루 만에 무려 2.65%(0.127%포인트)나 빠졌다.
이날 누그러진 물가로 일각에서 제기되던 금리 ‘인상’ 목소리는 우선 수면 아래로 가라 앉는 분위기다. 다만, 그동안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주요 요인으로 꼽혀온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도 하기 전이란 상황을 볼 때 ‘위험 자산’에 대한 투심이 회복될 것이라 속단하긴 이르단 평가도 있다.
최규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서비스에 이어 상품 물가의 하방경직성이 강해지면 연내 인플레이션 하락은 제한될 전망”이라고 꼬집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 전망이 불투명하고 새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부 정책의 잠재적 변화 가능성이 커졌다”며 “향후 통화정책 경로는 신규 경제지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 물가 수치와 이에 따른 통화 정책, 위험 자산에 대한 투심은 국내 증시는 물론, ‘서학개미(미국 주식 소액 개인 투자자)’ 주머니 사정에도 곧장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이날 한국은행이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를 현재 3% 수준으로 동결한 것이 증시 등에 미칠 영향 분석을 두고 전문가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역전된 한·미 금리 격차가 벌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원/달러 환율 상승 탓에 ‘큰 손’ 외국인 투자자가 매력이 줄어든 국내 증시를 떠날 이유가 줄었다는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효과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연초엔 한은이 3회 연속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고, 투자 역시도 이에 맞춰 움직였다”면서 “이번주 들어 동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더니, 결과까지 이렇게 나온 만큼 투심을 위축시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둔화에 대한 대응 및 내수 경기 부양 방안으로 해석됐던 만큼, 국내 증시 반등을 위해 필수적인 수급 강화와 기업 이익 향상엔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이 향후 상황에 따라 금리 인하에 나서려 해도 ‘강(强)달러’ 우려가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외국계 자산운용사 고위 관계자는 “계속되는 미국 경기 호조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등장으로 원/달러 환율에 대한 상방 압력이 예상되는 상황에 국내 경기 부양을 위한 한은의 금리 인하 결정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신동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