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BYD, 전기차 ‘아토3’로 韓 공략

16일 브랜드 출범식 개최, 사전예약 시작
보조금 혜택 2000만원대 가성비 승부수
조인철 대표 “브랜드 경험 확대에 총력”


콤팩트 전기 SUV ‘아토 3’


“‘배터리 제조’로 첫발을 내디딘 BYD는 최고의 기술력과 안전성, 합리적인 가격 등 우수한 상품성으로 전 세계 어느 시장보다 높은 한국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춰 갈 것입니다.”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

BYD코리아가 ‘2000만원대(전기차 보조금 적용 예상 가격)’ 가격표를 붙인 콤팩트 전기 SUV(스포츠유틸리차량)를 앞세워 한국 전기차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BYD코리아는 16일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BYD 브랜드 출범식을 열고, 사업전략 및 신차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와 조인철 BYD코리아 대표, 6개 딜러사 대표를 비롯해 한국과 중국 기자단과 각 분야 관계자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BYD는 전 세계 100개 시장 및 지역에서 자동차, 경전철, 재생에너지, 전자 등 4개 분야를 주력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딥테크 기업으로 중국 업체가 한국 완성차 시장(상용차 제외)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427만대 이상의 친환경차를 판매, 3년 연속 전세계 친환경차 판매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016년 전기지게차, 전기버스와 전기트럭 등 국내 전기 상용차 시장에서 첫발을 내디딘 BYD코리아는 올해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 3’를 시작으로, 퍼포먼스 중형 전기세단 ‘씰’,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 7’ 등 총 3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날 사전 예약을 시작한 아토 3는 2022년 출시 이후 전 세계 시장에서 100만대 이상 판매된 브랜드 대표 모델로, ▷BYD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플랫폼 3.0’과 ▷모든 전기 제어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연결하는 양산형 8-in-1 전기 파워트레인 ▷리튬인산철(LFP) 기반 60.48㎾h 블레이드 배터리가 장착됐다.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는 321㎞(복합 기준)이며, 급속 충전 시 20%에서 80%까지 약 30분 만에 충전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3초, 항력 계수는 0.29Cd다. 여기에 한국 고객들의 취향과 편의를 고려해 티맵모빌리티 서비스, 국내 음악 플랫폼 플로(FLO) 등 한국 특화형 부품 및 서비스도 적용했다.

류쉐량 총경리는 “사전 계약에 돌입한 브랜드 대표 콤팩트 전기 SUV 아토 3의 경우 2월 중순부터 고객 인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아토 3를 시발점으로 올해 하반기 씰과 씨라이언을 잇달아 출시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며, 이후 매년 다양한 매력과 혁신 기술을 갖춘 신차를 도입해 한국 소비자의 선택지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했다.

BYD코리아는 한국 시장에 첫선을 보인 아토 3의 가격을 공개했다. 국내 시장에서 두 가지 트림으로 출시되며 판매 가격은 기본 모델이 3150만원, 상위 트림인 플러스 모델은 3330만원(VAT 포함)이다.

BYD코리아 측은 아토 3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이 확정되면 실구매가가 2000만원대까지 내려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인철 대표는 “아토 3의 국내 판매가격은 유럽을 비롯해 다른 주요 시장에서보다 더 싸게 책정됐다”며 “이는 보다 많은 한국 소비자가 ‘BYD’라는 브랜드 가치와 기술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으로 중국 본사에서도 한국 시장의 중요성에 절대적으로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BYD코리아는 한국 소비자의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사후 서비스에도 공을 들였다. 보증 기간은 기본 6년/15만㎞이며, 배터리는 8년/16만㎞, 배터리 용량은 70%까지 보장한다. 특히, 국내 고객을 위해 총 4회의 무상 점검 혜택을 제공하고, 긴급출동 및 무상견인 서비스를 업계 최장인 6년으로 설정했다. 이 외에도 차량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선착순 100명에 한해 50만원의 충전 크레딧도 제공한다.

전시장과 서비스센터의 경우 6개 공식 딜러사와 전국 주요 지역 및 도시에 15개 전시장과 11개 서비스센터를 16일부터 차례로 오픈할 예정이다.

서재근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