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값 급등도 물가 불안 야기…트럼프 취임이후 정책이 관견
![]() |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달걀을 고르고 있다. [AFP] |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글로벌 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난 15일(현지시간)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누그러졌다. 하지만 삶의 질과 직결된 부문에서 물가 불안을 자극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과도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
앞서 미국의 지난해 12월 CPI는 전달보다 0.39% 올라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0.4%)에 부합했다. 무엇보다 근원(core) CPI가 0.23% 에 그쳐 시장 예상치(0.3%)를 하회하면서 인플레이션 불안을 크게 잠재웠다.
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원 서비스 가격지수가 0.27% 상승해 6개월내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 고무적이다. 또 근원 상품 가격지수가 상당 부분 하락하면서 기준금리 인하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될 것이란 우려도 떨쳐냈다.
하지만 근원 CPI에서 제외된 식료품, 에너지 부문이 실제 생활과는 매우 밀접한 탓에 물가에 대한 불안은 여전히 높다.
특히 미국인 삶에 빼놓을 수 없는 달걀 가격은 1년 전보다 무려 37% 가량 뛰었다. 식료품 부문이 11월 0.5%상승에서 지난달 0.3%로 감소했지만 크게 와닿지 않는 이유다. 이대로라면 2023년 1월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를 넘을 수도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오렌지 주스 가격도 이상기후와 감귤류 질병 탓에 10% 이상 뛴 상태다. 소고기 가격 역시 상승세 자체는 줄었지만 여전히 1년 전보다 5%가량 높다. 소고기는 미국 식당 운영에 필수 식재료로, 약 30%가량을 차지한다. 소고기가 비싸지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닭과 칠면조 등 가금류로 눈을 돌리면서 이들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전체 CPI 상승의 40% 이상을 차지한 에너지 가격 급등도 생활 물가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에너지 가격은 11월 0.2% 상승에서 12월 2.6%로 치솟았다. 가솔린 및 연료유 가격도 동반 상승했다.
무엇보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피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반이민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불법 이민자 추방이 본격화되면 저임금 노동력 감소로 서비스업 임금이 추가로 높아질 수 있으며, 무역분쟁 심화는 미국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