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환경노출·건강 관련 가명화 데이터 제공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환경부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21일부터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코호트 연구(Cohort study)는 특정기간에 대상 집단을 추적조사하는 연구방법으로,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사업은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을 조사·연구한다.
어린이 환경보건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환경부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2015년부터 수행 중인 국가 최대 규모의 출생코호트 연구사업이다.
연구 대상은 2015년~2021년 7년동안 동의를 얻은 임신부의 출생아 약 7만명으로 청소년기(만 16세)까지 추적조사한다.
[환경부 자료] |
조사항목은 어린이 성장단계별 거주환경·생활습관·식이·질병력 등 설문 결과, 분만기록, 성장·인지발달, 혈액 중 중금속 3종 및 소변 중 프탈레이트류 8종, 환경성 페놀류 7종, 코티닌 등 19종 농도를 분석하는 바이오 모니터링 및 실내외 환경오염 등이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비식별화 처리 등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관리된다.
조사 대상 임신부, 출생아는 연 1~2회 생체시료 채취, 각종 검사, 대면 또는 비대면 설문조사 등에 참여해 왔다.
데이터 활용을 원하는 연구자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누리집에 회원가입 후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국립환경과학원의 심의를 거쳐 가명 처리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2015년부터 오랜 기간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와 학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참여를 바란다”며 “여러분의 노고가 헛되지 않도록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과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한 환경보건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생코호트 데이터 신청·제공 절차[환경부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