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이른 시일 내에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를 추진하는 한편 외교·산업부 장관 등 양국 간 고위급 소통도 본격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철저한 준비를 토대로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미국 신정부와 각계각층에서 협력 관계를 구축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조만간 발표될 조치들에 대해 배경과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이미 실무대표단을 워싱턴D.C.에 파견하였으며 미국과 소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에서 취임 선서를 통해 47대 대통령으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다시 한번 내세우면서 무역 체제 개편, 물가 상승 압력 해소, 전통 제조업 부활을 강조했다”면서 “향후 서명할 행정명령 등 구체적인 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우리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으로 ▷대외수입청(ERS) 설립·관세 부과 확대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그린뉴딜 정책 종료 ▷전기차 의무 구매 폐지 등을 꼽았다
최 권한대행은 대응방안과 관련해 “정부는 미 대선 이전부터 우리 국익을 최우선으로, 체계적으로 만반의 대응 준비를 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대외경제현안간담회 등을 통해 미국 신정부의 정책 동향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담금질했다”면서 “우리 기업들과도 긴밀히 소통해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상 이슈별 행동계획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발표될 행정명령 등 정책의 실제 내용을 주시하면서, 미 신정부 출범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과 대응 방향을 면밀히 재점검해 나가겠다”고 했다.
경제계 차원에서 계획 중인 대미 접촉과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최 권한대행은 “정부는 미국 신정부 출범의 기회 요인은 극대화하고 위험요인은 최소화해 우리 경제의 안정성을 강화해 나가겠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표시한 조선업 협력 등 양국 경제협력의 기회 요인은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양국 간 경제·외교·안보 협력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권한대행은 “지난 70여 년간 상호 신뢰 위에서 외교와 국방, 공급망과 첨단기술 등 전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넓혀 왔듯이 ‘위 고 투게더’(We go together·같이 갑시다)라는 한미 동맹의 공동가치를 바탕으로 양국 간 정책 공조가 더욱 강화되고 상호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