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에 낀 한반도…새 균형점 찾기 과제 [트럼프 2.0 시대 개막]

“미-중, 경제적 이유로 충돌 크지 않을 것”
“대중·대러 외교 재개해 분위기 조성해야”


지난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로이터]


[헤럴드경제=서정은·문혜현 기자] 대대적인 중국 견제를 예고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20일(현지시간) 본격적으로 출범하면서 한국 외교전략도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게 됐다. 중국이 미국을 향해 관계 개선 의지를 전하고 미·중 회담 가능성도 제기되고는 있지만, 양국 간 쟁점은 여전히 치열하다. G2의 관계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향후 대중, 대미외교의 발걸음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당선 직후부터 중국에 대한 10% 관세를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또한 모든 나라에 10% 내지 20%의 기본 관세를 매기겠다고 하면서 중국에는 6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일단 중국은 ‘반발’보다는 ‘접촉’을 택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7일 트럼프 당선인과 통화한 데 이어 조만간 베이징 혹은 워싱턴 DC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 100일 안에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을 만날 의향이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은 한정 국가 부주석을 시 주석의 특사로 파견해 미국과 긴장 완화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미국과 동맹 관계에 있는 일본과도 협력 의지를 보였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오는 3월 일본을 방문해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과 회담을 가질 전망이다. 앞서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도 지난달 베이징에서 왕 주임과 회담하며 방일을 요청한 바 있다.

외교가에서는 이때 중국이 지난해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래 중단된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를 논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 개최 가능성도 있다. 일본 측의 제안으로, 중국과 한국도 긍정적인 입장으로 한중일 협력 체제를 복원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포착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수석이 지난 1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미중 관계 흐름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미국이 경제적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수출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우리나라가 양국 사이에서 적절한 줄타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와 달리 줄곧 탈중국 정책 기조를 보여왔다. 이 때문에 한·미 동맹을 앞세운 미국 일변도 외교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앞으로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각국이 ‘각자도생’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존 외교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냐 중국이냐의 선택의 기로에 있을 순 있다”면서 “‘경중안미’ 전략에 대한 담론에 대한 유효성을 놓고 많은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의 공급망 재편 등에 따른 이점이 있는만큼 중국과 관계를 끊진 않더라도 안보, 경제 축이 미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미국이 중국과 생각보다 크게 부딪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면서 “애플·테슬라 등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 이해관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정치적 수사와 분리해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 센터장은 “앞으로 한국은 대중 전략 등 유라시아 전략도 같이 세워야 한다”면서 “국익 중심의 실리 외교를 위해 중국·러시아와 우호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놔야 한다”고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