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도 고성능 AI 연구 가능”…민·관 합작, 2조원 규모 ‘국가 AI컴퓨팅 센터’ 만든다

2027년 구축·개소식
SPC설립…공공 51%, 민간 49% 지분 구성
민간 사업자 저리 대출 지원…AI 분야 투자 세제 지원도


AI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정부가 민·관 합작 투자를 통해 오는 2027년 2조원 규모의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학 등도 저렴한 요금으로 AI 연구에 필요한 AI 컴퓨팅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활발한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취지다.

또 민간의 AI 투자 확대를 위해 AI를 세제 지원 분야로 지정하는 등 세계 ‘AI 3강’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계획을 밝혔다. ‘AI컴퓨팅 센터’는 AI 연구 개발 및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AI컴퓨팅 지원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정부는 민·관 합작 투자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정책금융 대출 등을 활용해 2조원 규모로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 2027년 구축 및 개소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전에도 임시 구축·운영을 통해 올해부터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2028년에는 3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2029년에는 차세대 프로세서인메모리(PIM)를 적용한다는 구상이다.

SPC 지분은 공공 51%, 민간 49%로 구성한다. 입지는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비수도권에 구축하되 입지, 전력 확보방안 등은 민간에서 제안하도록 한다.

대학, 연구소 및 중소·스타트업 등의 AI 연구 개발과 AI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서비스 요금은 저렴한 수준으로 운영한다.

GPU 서비스, 국산 NPU를 이용한 AI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부가서비스도 운영할 계획이다. GPU로 개발(학습)한 AI서비스를 국산 AI반도체로 제공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SW) 최적화를 지원한다. 국내 대학·연구소, 중소·스타트업의 제품 개발 전주기 설계·검증을 지원하는 쉐어드서비스(Shared Service)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글로벌 기업 참여 및 구체적 협력방안을 마련해 국내 AI컴퓨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추진한다. 정부 연구개발(R&D)과 협업도 강화한다.

센터 구축을 위한 민간 사업자 선정은 1단계 기술정책평가, 2단계 금융 심사로 단계별 평가로 추진한다. 1단계는 민간전문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사전심사, 서류검토, 발표평가로 이뤄진다. 2단계는 출자, 대출 등의 금융 심사 이뤄진다.

민간 사업자 참여자에는 정책금융을 통해 저리대출을 지원한다. 최대 지원규모는 2025년 총 6250억원으로 2025~2027년간 총 2조5000억원 수준이다.

지원대상은 AI컴퓨팅 인프라 분야 신규 투자 기업으로, 자금용도는 AI컴퓨팅 인프라 관련 시설 및 반도체 설비 구매 등이다.

정책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민간의 AI R&D 및 투자 지원 강화를 위해 AI 분야를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도록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해 ‘국가AI위원회’ 내에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설치한다. 공공에선 경제부총리가 위원장을 밭아 과기정통부· 산업부 장관, 금융위원장 등이 참여한다. 민간에서는 AI컴퓨팅 인프라 등 분야별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