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보영 기자] 김건희 여사가 비화폰(도청방지 휴대전화)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대통령경호처장 직무대행인 김성훈 차장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들 질의에 답했다. 이 자리에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건희씨에게도 비화폰 지급한 적 있지 않나”라고 물었다.
그러자 김 차장은 “확인해드릴 수가 없다”고 답했다. 이에 윤 의원은 다시 “비화폰의 모델명까지 제보를 받았다”고 밝히고는 “S20 5G 모델 비화폰 1대를 김건희 씨에게 지급했다는 것”이라고 제보받은 내용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대통령 내외를 포함해서 총리, 장관 비화폰 전화번호 목록까지 장관들에게 경호처가 지급했다는 것이 사실이냐. 대통령 부인에게 비화폰을 지급해야 할 내용이 있느냐”라고 따져 물었다.
비화폰은 음성 통신이나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도청, 해킹 또는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장치다. 국무위원들과 군, 국정원, 외교 관련 직무 등 국가 기밀을 다루는 직책에 보급된다.
이에 김 차장은 “확인해 줄 수 없고, 세세한 사항까지 제가 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다. 윤 의원은 “본인이 경호처 차장이고 그 전에 기획(관리)실장인데 이 내용을 모른다고 해도 되나”라고 질타했다.
앞서 지난 18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에 따르면 계엄 당일 오후 8시 전에 대통령실로부터 소집 연락을 받은 장관 5명은 모두 도감청과 통화 녹음이 불가능한 비화폰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장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다.
용 의원은 “12·3 내란 과정에서 비화폰을 통해 내란 중요종사자들끼리 서로 비밀리에 소통하거나,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지시받은 바가 없는지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