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완 행장 혁신경영 TFT 가동
우리은행이 내부자 신고를 외부 채널을 통해 접수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해 12월 4일 컴플라이언스(내부통제) 전문업체인 레드휘슬이 제공하는 익명 신고 시스템 ‘헬프라인’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임직원은 아이피(IP) 주소 추적이나 신원 노출에 대한 걱정 없이 내부 비위 등을 검사본부 소속 담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검사본부도 이 채널을 통해 익명의 신고자에게 처리 결과 등을 통지할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이 불거지면서 외부 신고 채널 도입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 내부자 신고 제도 보강을 통해 금융사고 재발을 막겠다는 취지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자체 신고 채널은 익명성 보장을 의심해 이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며 “내부자 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부 업체가 운영하는 채널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에서 자금세탁방지센터와 여신감리부를 본부급으로 격상하고 준법감시실에 책무지원팀을 신설하는 등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혁신경영 태스크포스팀(TFT)’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등 고객 신뢰 회복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계획이다. 정 행장은 앞서 취임 일성으로 ‘신뢰 회복’을 강조하고는 “형식적이 아닌 ‘진짜 내부통제’가 돼야 신뢰가 두터워질 수 있다”고 언급하 바 있다. 김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