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레전드 오브 이미르’ 다음 달 20일 출시…“경제 시스템에 블록체인 탑재”

북유럽 신화 배경의 PC·모바일 대형 MMORPG
‘완성도·경제적 가치·본질적 재미’ 중점 두고 개발
주화 수량 제한·아이템 NFI 제작…“새로운 패러다임”


석훈 위메이드엑스알(XR) 총괄 프로듀서가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를 소개하는 모습 [위메이드 제공]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위메이드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이하 이미르)’를 다음 달 20일에 국내 출시한다.

석훈 위메이드엑스알(XR) 총괄 프로듀서(PD)는 23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이미르를 최초 공개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북유럽 신화를 배경으로 제작된 PC·모바일 대형 MMORPG이다. 9000년마다 반복되는 세상의 종말 ‘라그나로크’를 막기 위한 여정이 담겼다.

위메이드에 따르면 이미르는 ▷게임 완성도 ▷경제적 가치 ▷본질적 재미라는 세 가지 가치에 중점을 두고 개발됐다.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경제적 가치다. 국내 출시 게임 최초로 게임 내 경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탑재했다. 아이템의 가치를 공정하게 보전하고, 아이템 관련 내역을 이용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단 취지다. 석 PD는 “모든 게임이 재화와 아이템 가치를 보존하겠다고 하지만 실제 사용자가 만족하는지 의문이 들었다”며 “기존 사용하던 문법이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시도했다”고 했다.

위메이드는 게임 내 아이템 가치를 보전하고자 장비 생산과 거래에 필요한 화폐인 ‘주화’의 전체 수량을 제한했다. 또한 무기·장신구 등 최상위 등급 아이템을 대체불가능아이템(NFI)로 제작하고, 데이터베이스 원장에 기록해 거래 내역과 생성 날짜 등 정보를 모든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석 PD는 “등록 정보는 블록체인에 기록돼 우리가 가공할 수 없다”고 했다.

23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레전드 오브 이미르 미디어 쇼케이스’ 현장 [차민주 기자/chami@]


이 같은 경제 시스템에 맞춰 게임의 수익모델(BM)도 탈바꿈했다. 결제 금액보다 게임을 꾸준히 이용하는 이가 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변경했다. 석 PD는 “결제 여부와 상관 없이 꾸준히 이미르를 플레이한 이용자라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난이도로 도전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유료 확률형 상품에도 천장 시스템을 도입해 경제적 가치를 지켰다. 석 PD는 “유료 확률형 상품에 천장 시스템을 도입해 일정 액수가 넘어가면 원하는 결과를 반드시 얻을 수 있도록 했다”며 “소환형 상품 자체에도 천장 시스템을 둬 이용자의 과금 부담을 덜고, 지불한 비용에 대한 보상 체감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김정훈(왼쪽) 위메이드 사업실장, 석훈 위메이드XR 총괄 프로듀서, 이장현 위메이드 전략실장이 ‘레전드 오브 이미르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질의를 받고 있는 모습 [차민주 기자/chami@]


위메이드는 이미르의 해외 출시 계획도 밝혔다. 석 PD는 “글로벌 버전은 한국에서 서비스한 후 추세를 봐야 할 것”이라며 “주요 타깃 시장으로는 북미 시장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했다.

이날 위메이드는 게임 관련 콘텐츠 제작자를 후원하는 플랫폼 ‘스트리머 서포트 플랫폼(SSS) 2.0’도 공개했다. 해당 플랫폼은 시청자가 결제 금액에 비례한 ‘씨드(seed)’를 획득해 스트리머에게 후원하고, 스트리머는 씨드를 비롯해 콘텐츠 조회 수·후원자 수에 비례한 금액을 제작 비용으로 받는 플랫폼이다. 위메이드는 SSS 2.0의 후원금 분배 기준을 확대하고, 등급제와 씨드 유효기간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