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나흘간 재료 하루에 반영”
![]() |
[로이터] |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국내 증시가 24일 설 연휴 전 마지막 거래일을 맞아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문가들 사이에 나온다. 투자자들이 다음주 예정된 미국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매그니피센트7(M7·미국 7대 기술기업) 실적 발표를 대비해 포지션을 정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24% 내린 2,515.49로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6200억원,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 5200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방 압력을 키웠다.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의 강세에도 트럼프 정책 수혜 기대감은 다소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국내에서는 설 연휴를 앞둔 경계심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조선과 전력, 반도체주 등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했다.
SK하이닉스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도 실적 전망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결과 셀온(고점매도)이 발생하며 주가가 2.66% 내렸다.
간밤 뉴욕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제유가와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한 데 따른 기대감으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화상연설에서 “난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를 내리라고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또 “유가가 떨어지면서 난 금리를 즉시 내리라고 요구하겠다. 마찬가지로 전 세계에서 금리가 내려야 한다. 우리를 따라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연합] |
이 같은 발언 이후 금리 선물시장에선 3월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확률이 소폭 상승하는 등 금리인하 기대감이 재차 커졌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사상 최대 규모의 감세안을 통과시키겠다고 발언하고, 가상자산 실무그룹 신설과 미국의 인공지능(AI) 산업 강화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도 증시 상승폭을 키웠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53% 오르며 종가 기준 최고치를 한 달여 만에 경신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0.92%, 0.22% 상승했다.
이날 국내 증시에는 다음 주 설 연휴 기간 예정된 FOMC 등 미국 주요 이벤트에 대한 경계심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FOMC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 열리는 회의로, 물가 및 재정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향후 금리인하 경로를 예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애플, 메타, 테슬라, 알파벳 등 빅테크도 연휴 중 줄줄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내주 FOMC와 M7 실적 등 대형 이벤트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다. 국내 증시는 내주 나흘간 재료를 하루에 다 반영해야 한다”며 “어제에 이어 오늘도 변동성 높은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일본은행(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가 열릴 예정이지만, 지난해 7월 말 기준금리를 인상했을 때에 비해선 시장에 미칠 파급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한 연구원은 전망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