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 때 직설적 언사로 ‘싸가지 없다’는 오해 받아
어떤 상황에서도 최선 다해…20년차 배우의 자부심
![]() |
넷플릭스 시리즈 ‘중증외상센터’에서 천재 외과의사 백강혁을 연기한 배우 주지훈은 인터뷰에서 거침없는 입담을 선보였다. [넷플릭스 제공] |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원작 웹툰의 코믹함과, 선혈이 낭자한 메디컬드라마의 중간 완충점에 무사히 착지했다. 넷플릭스 시리즈 ‘중증외상센터’는 엄청나게 빠른 전개로 달려가 고구마 없이 탄산만이 터지는 사이다 결말을 안긴다. 중증외상센터의 히어로 의사 백강혁을 연기한 배우 주지훈은 “(현실이 드라마처럼) ‘이랬으면 좋겠네’가 이 작품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라고 단순명쾌하게 말한다.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주지훈은 “홍길동전을 진하게 파고 들어보라. 본질은 도둑질이다. 근데 탐관오리를 심판하고, 벌을 주니까 정의로운 인물에게서 얻는 쾌감이 있지 않느냐”며 “‘중증’도 일종의 판타지스러운 이야기를 보여주면서 가상으로라도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드리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
![]() |
[넷플릭스 제공] |
‘중증’은 주지훈이 먼저 주인공 백강혁에 낙점되고, 주지훈의 추천으로 10년전 같이 호흡을 맞췄던 영화 ‘좋은 친구들’의 이도윤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주지훈은 이 작품에 본인이 출연함은 물론 친분있는 이 감독에게 선뜻 같이 하자고 손 내민 이유에 대해 “작품이 매력적이다. 이해하기가 쉽다”며 “백강혁이란 캐릭터는 의사가 아니라 소방관, 경찰, 기자 그 어디에다 가져다 놔도 모두가 바라는 유토피아적 느낌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작품에 특히 제가 참여를 많이 한 것은, 제가 그동안 만화 원작의 작품을 많이 해왔기 때문이에요. 이 만화를 영상에 맞도록 톤앤매너를 잘 조절해야 하거든요. 잘못하면 백강혁이 위급한 환자를 앞에 두고도 ‘후훗’하며 웃는 ‘사이코패스’로 보일 수도 있어요. 원작이 진짜 밝은 톤인데, 제가 아는 이도윤 감독은 정말 어둡거든요. 둘을 섞으면 딱 ‘눈부시지 않을 정도의 따뜻한 빛’이 나올거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그의 주연 데뷔작인 드라마 ‘궁’(2006)도 동명의 만화가 원작이다.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2008)도, 그의 천만영화 ‘신과 함께’(2017)도 만화가 원작. 데뷔 이래 여러번 ‘만찢남’을 해본 주지훈의 선택은 결과적으로 잘 우러났다. 주지훈과 이도윤 감독이 가장 우려했던 ‘도덕적 불편함’은 시리즈를 보는 내내 느낄 수 없었다.
![]() |
[넷플릭스 제공] |
원작과 시리즈에서 모두 백강혁은 직설적이고, 때론 무례하기까지 하지만 환자의 목숨만큼은 가장 소중하게 대하고 능력 역시 출중한 ‘뼈의사’ 컨셉이다.
하지만 주지훈은 “현실에서 본업은 특출난데 무례한 사람이 있다면, 전 (그 사람)싫다”며 “제가 살면서 많이 겪었는데 무례한 것을 솔직한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더라. 하지만 전 직설적인 사람은 좋아한다. 제가 직설적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백강혁과 저는 직설적인 점이 닮았죠. 제가 신인일 때는 감독님한테 배우가 감히 의견을 제시하면 안되는 시기였는데 저는 그게 이상했어요. 저 싸가지 없지 않는데 싸가지 없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어요. 원래 맞는 말을 하면 욕을 먹는거에요. 다행히 위계질서를 따지는 문화가 이제 좀 풀린 것 같아 다행이죠.”
자기 의견을 거침없이 개진하는 주지훈과 이를 열린 태도로 수용하는 이도윤 감독은 여러 장면을 두고 치열하게 논의했다고 전했다. 주지훈은 “한유림 과장의 딸이 수술하는 장면에선 감독님하고 죽을 때까지 싸웠는데 제가 졌다”며 “소독도 안한 외부인이 개복한 환자가 있는 수술실에 들어오는게 말이 안되지만, 연출자 입장에서는 시청자들에게 더 극적인 감정을 주려면 아빠가 옆에서 오열해야 하는 것이더라. 관점의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 |
첫 주연작 드라마 ‘궁’에서의 주지훈 |
많이 싸웠다고 사이가 안좋은 것이란 오해는 금물이라고 덧붙였다.
“감독님이 ‘어’ 하면, 저는 ‘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한글, 아니 히라가나까지 알아들어요. 이 감독이 워낙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분이라 소통에 열려있어서 저 뿐만 아니라 영우, 하영 배우도 같이 질문과 의견 개진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제가 솔선수범한거죠.”
연기 구멍 하나 없이, 명품 조연들까지 한 몫한 ‘중증외상센터’는 2025년 설 연휴를 든든히 책임질 것으로 예상된다. 감독과 주연배우가 입을 모아 ‘우리는 메디컬드라마가 아니다, 판타지 영웅서사다’라고 주창하지만, 한국 메디컬드라마 계보에 이름을 올려도 될 정도로 수술신 등이 조악하지 않았다.
필모그래피를 알뜰히 채워가는 20년차 배우 주지훈은 “배우로서 관객과 시청자들이 작품을 기획의도대로 받아들여 주셨을 때 가장 감동이 크다”면서 “그리고 작품의 성적에 관계없이 저는, 어떤 환경에 있건, 누구와 작업을 하건, 언제나 최선을 다한다. 제 자부심이다. 이건 망설임없이 답할 수 있다”고 당당하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