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퇴진’ 결정한 개혁신당 이준석계, 조기 대선 모드로 [이런정치]

당원소환 투표로 허은아 대표직 상실 의결
임시 전대 열어 대선 후보 선출 규정 만들 듯
곧 만 40세 되는 이준석, 대선 출마 의지 확고
‘제3 지대 주자’ 태생적 한계 등 극복이 관건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2025년 의료계 신년 하례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해솔 기자] ‘당원소환’을 통해 허은아 대표 등 퇴진을 결정한 ‘이준석계’ 개혁신당 지도부가 이 의원 출마를 염두에 둔 조기 대선 체제를 가동할 전망이다.

천하람 원내대표 등 이준석계 지도부는 26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지난 24~25일 진행된 허 대표와 조대원 최고위원에 대한 당원소환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허 대표 당원소환 투표에는 으뜸당원 2만1694명이 참여해 1만9943명(91.93%)이 찬성, 1715명(8.07%)이 반대했다. 조 최고위원 투표에서는 2만140명(92.84%)이 찬성했다.

개혁신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으뜸당원 3분의 1 이상 투표 참여와 유효 투표 과반 찬성이면 당원소환이 확정된다. 이에 따라 이준석계 지도부는 허 대표의 대표직 상실 등을 의결했다.

이준석계와 허 대표 간 갈등은 지난달 16일 허 대표의 김철근 사무총장 경질에서 수면으로 떠올랐다. 김 사무총장은 이 의원 측근으로 분류되는데, 당 운영 방향 등을 두고 허 대표와 갈등을 빚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허 대표는 김 사무총장에 이어 이주영 정책위의장까지 경질하고 후임을 선임했지만 당사자들이 받아들이지 않으며 직을 유지, 양쪽이 각각 최고위원회의를 여는 등 기형적인 모습이 연출됐다.

이후 천 원내대표 등은 허 대표가 당직자 임명 과정에서 당헌·당규를 위반하고 사무처에 부당한 지시를 했다며 당원소환 투표를 시행했다.

허 대표와의 정치적 관계를 ‘손절’한 이준석계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이뤄질 시 성사될 조기 대선에 대비할 계획이다. 오는 3월 만 40세가 돼 대선 출마 자격이 생기는 이 의원은 조기 대선 출마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이에 맞춰 이준석계 지도부도 사실상 선거 캠프 모드로 전환할 전망이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설 연휴가 끝나면 바로 임시 전당대회를 준비할 것”이라며 “당헌·당규상 대선 후보 선출 규정 등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허 대표 측이 당원소환 투표 결과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만큼 이 같은 계획이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허 대표는 이날 오후 유튜브 방송을 통해 “당원소환 투표 절차가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고 ‘대표 호소인’인 천 원내대표가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안건을 의결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허 대표는 법원에 당원소환 투표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도 신청한 상태다.

한편에서는 조기 대선 성사 시 거대 양당(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제3 지대 주자로서 이 의원 경쟁력과 선거 완주 가능성 등을 의심하는 시선도 있다. 특히 허 대표 측은 이 의원 측이 국민의힘과 합당 또는 통합 논의를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비난하고 있다.

이에 이 의원은 통화에서 “사실무근이다. (허 대표 측이) 구체적인 얘기도 못 하고 있지 않나”라며 “그냥 운만 띄우고 뭐가 있는 것처럼 연기만 피우고 있다”고 반박했다.

대선 국면에서 국민의힘과는 경쟁 관계로 가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며 “(그게 아니면) 제가 당을 따로 차린 이유가 뭐겠나”라고 답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