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금융불안지수, 계엄 충격에 치솟아”…‘레고랜드 사태’ 수준

주가·경제심리지수 하락 등 반영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FSI)가 레고랜드 사태 당시 수준으로 치솟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탄핵사태 등에 따른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금융 불안을 키우고 실물 경제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 구체적인 수치로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을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는 전월보다 1.1포인트 오른 19.2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이 패닉에 빠졌던 2022년 9월(19.7)과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1월(76.9)과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4월(25.1)보다 낮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인 2016년 12월(9.5)의 두 배 수준으로 치솟았다.

금융불안지수는 한은이 금융과 실물 부문에서 나타나는 금융불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작성하는 종합지수다. 금융시장, 대외, 실물, 은행, 비은행 등 5개 부문별 20개 세부 지표를 반영한다. 코스피와 환율 변동성뿐 아니라 신용부도스와프(CDS) 스프레드, 소비자심리지수, 교역 규모 감소율, 대출 연체율 등이 두루 포함된다.

한은은 금융불안지수 12 이상을 ‘주의단계’, 24 이상을 ‘위험단계’로 각각 분류하는데 현 수준은 주의단계에 해당한다. 지난달 금융불안지수에는 주가 하락, 신용 스프레드 상승, 경제심리지수 하락 등이 반영된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임 의원은 “계엄 사태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친 충격이 구체적인 지표로 처음 확인됐다”며 “정치 불확실성을 조속히 끝내고, 내수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도 정부가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