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서버용 SSD 수요 기대치 대비 제한적”
HBM 포함 AI 메모리 변동성 폭증 전망
중국발 ‘딥시크 쇼크’ 여파도 예의주시
삼성전자 반도체 |
[헤럴드경제=김민지·김현일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상반기까지 반도체 사업에서 고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며 ‘정면돌파’를 이어갔다.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습에 따른 범용 반도체 시장의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첨단 공정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중국발 ‘딥시크(Deepseek) 쇼크’와 이에 따른 미국의 대(對)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로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추론 AI 시장의 본격적인 확대가 HBM 중심의 AI용 메모리 시장에 끼칠 영향에 대해 당분간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31일 삼성전자는 실적발표를 통해 DS부문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를 소폭 하회한 수치다. 누적 연간 영업이익은 15조1000억원이다. SK하이닉스(23조4673억원) 보다 8조원 이상 적다.
4분기 DS부문 매출은 30조1000억원으로 이중 HBM을 포함한 메모리사업부가 23조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시스템LSI, 파운드리 사업부의 매출은 7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주요 경영진은 HBM 매출 부진 및 파운드리 경쟁력 약화 등에 대해 단기간에 해결할 것을 약속했다.
박순철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이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저를 포함한 경영진과 임직원 모두는 현재 회사의 경영 현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지금의 이슈 또한 새로운 도약을 위한 성장의 기회로 믿고 있으며 반드시 짧은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로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정면돌파’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4분기 시설투자 규모는 17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조4000억원 늘었다. 이중 반도체(DS)부문이 16조원을 차지했다. 연간 시설투자 규모는 역대 최대인 53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반도체(DS)부문에 46조3000억원이 투입됐다. 다만 파운드리는 시황 악화로 전년 대비 연간 투자 규모가 감소했다.
김재준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 부사장은 “4분기 메모리 시장은 서버향 D램 중심으로 수요 견조세가 이어졌지만 서버용 SSD 수요는 일부 데이터센터 고객사 과제가 지연되면서 판매량이 기대치 대비 제한적이었다”며 “모바일·PC 수요 약세 영향이 더해지며 당사 빗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는 당사 공히 하회했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전망도 녹록치 않은 가운데, 삼성전자는 올해 메모리 투자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며 HBM, LPDDR5 등 첨단 공정 생산능력 확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김 부사장은 “올 1분기에는 서버는 AI용 제품에 대한 수요 모멘텀이 지속되지만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상황에 따라 데이터센터 및 OEM 고객의 D램 및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요 변화가 예상된다”며 “(미국의) AI용 메모리 반도체의 수출 통제로 인한 HBM의 수요 변동성이 예상외로 높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바일 및 PC 시장에서도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1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또한, “2분기부터 메모리 수요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낸드플래시의 경우 업계 내에서 과거 2년간 이어진 보수적인 설비투자 집행과 업계 전반의 감산 기조 확산으로 인해 늦어도 올해 하반기 초부터는 수급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범용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범용 D램 가격은 3~8% 하락했고, 올 1분기에는 하락 폭이 8~13%로 확대될 전망이다. 계절적 비수기와 PC, 스마트폰 등 IT기기 수요 회복이 부진한 것에 더해 중국 공급업체들이 DDR4 생산을 늘리면서 물량 공세를 펼치고 있는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부사장은 “당사는 D램 및 낸드 공히 시장 수요에 맞춰 일부 레거시 공정에 대한 라인 운영을 최적화하는 한편, 고사양 고용량 제품 수요 대응을 위한 선단 공정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파운드리 사업은 당분간 실적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노미정 파운드리사업부 상무는 “1분기 파운드리 시장은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전분기 대비 역성장을 예상한다”며 “당사 실적 또한 모바일 수요 부진 및 가동률 저하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의 영향으로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AI HPC의 강력한 수요를 기반으로 선단 노드 매출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 전년 대비 매출 성장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2025년 2나노 공정 양산과 안정화를 통해 주요 고객 수요를 지속 확보하고 동시에 4나노 공정 역시 모바일 HPC 수요 확대를 위해 경쟁력 있는 공정과 설계 인프라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로이터] |
여기에 중국 AI 업체인 ‘딥시크’의 여파도 불확실성을 키울 전망이다. 딥시크가 최근 선보인 추론 AI 모델 ‘R1’은 오픈AI 등 거대 빅테크의 AI 서비스 보다 20분의 1 수준인 저비용으로 동일하거나 더 높은 성능을 구현해내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북미 빅테크 업체들은 값비싼 엔비디아의 GPU를 사들이는 등 하드웨어에 수조원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AI에 투자해왔다. 반면, 중국 딥시크는 소프트웨어 및 코딩 최적화를 통해 훨씬 저비용으로 비슷한 성능을 구현한 것으로 분석된다.
딥시크가 보여준 ‘저비용 AI’의 가능성은 HBM 시장에 복합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지금까지 ‘쩐의 전쟁’ 양상으로 흘러가던 AI 시장이 ‘비용 효율화’로 바뀌면서 HBM3E, HBM4 등 고성능·고가의 AI용 메모리 수요가 다소 둔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구형 HBM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딥시크는 엔비디아가 2022년 개발한 AI 가속기인 ‘H800’을 활용해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H800에는 3세대 HBM인 HBM2e가 탑재된다. 추론 AI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면서 전반적인 HBM 시장 수요는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미국 정부의 대중 수출 규제가 추가 강화될 경우, 국내 반도체 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중국의 딥시크 발표 이후 엔비디아의 저사양 AI가속기 H20의 대중국 수출 제재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H20에는 삼성전자의 HBM이 탑재된다.
이미 국내 업체들은 중국에 HBM을 수출할 경로가 막힌 상황이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HBM에 미국의 원천 기술이 사용됐다는 것을 근거로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이 중국에 HBM을 판매하는 것을 규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