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 현안 간담회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1일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대한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도 신속하게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한다”고 주문했다.
최 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설연휴기간 일어난 통상·외교·안보 동향과 대응 방향을 점검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간담회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박성택 산업부 1차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설 연휴 기간 미 공화당 하원 컨퍼런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의 인사청문회,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관련 백악관 브리핑 등이 진행됐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자신의 골프클럽에서 진행 중인 공화당 연방하원 컨퍼런스 연설에서 “외국 생산자는 이 나라의 성장이나 발전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았다”며 자국 내 생산 물품이 아닌 해외 수입 물품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재천명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29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우리의 훌륭한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그들은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다. 그래서 난 우리가 우리 동맹들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성을 늘리도록 그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러트닉 지명자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법 취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재검토 필요를 거듭 주장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을 뒤집을 가능성을 우려해 임기 막바지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포함한 대미 투자 기업들과 보조금 지급 확정 계약을 체결했지만, 이날 러트닉 지명자의 발언을 고려하면 그런 보조금 지급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