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립한글박물관 화재 7시간만에 완진…유인촌 “국민께 죄송”

증축공사 현장서 발화 추정
관람객·문화유산 피해 없어
소장품 257점 중앙박물관 이송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나 관계자들이 수장고에서 꺼낸 문화재를 이송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1일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약 7시간 만에 불을 완전히 껐다. 관람객이나 문화유산 피해는 없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재는 이날 오전 8시 40분께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을 투입했다.

큰 불길은 낮 12시 31분께 잡았지만 건물 내 쌓인 가연물을 들어내고 잔불 등을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려 화재 발생 6시간 42분 만인 오후 3시 22분이 돼서야 완전 진화했다.

불은 전시실로 운영되는 3층에서 시작돼 4층으로 번졌다.

소방당국은 증축공사 현장에서 철근을 자르기 위해 용접 작업을 하다가 불티가 튀어 화재가 시작됐을 수 있다고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소방당국은 증축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건물 내 스프링클러와 제연설비 등이 정상 작동했는지도 살필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현재까지 스프링클러는 (작동이) 중지된 것으로 파악한다”고 전했다.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나자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


불을 끄는 과정에서 건물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대원 1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박물관 안에 있던 작업자 2명은 구조됐고 4명은 대피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었기 때문에 관람객이 없어 추가 인명피해는 발생하지는 않았다.

이날 화재로 박물관 3층과 4층이 전소됐다. 다만 문화유산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바람도 주변에 있는 아파트 단지 쪽으로 불지 않아 주민 피해도 크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증축공사 시작과 함께 문화유산 등을 수장고에서 별도로 관리 중인 박물관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국가 지정문화재급 소장품 257점을 인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 나머지 소장품도 훼손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화재에 대해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유 장관은 “갑작스러운 화재 소식으로 국민 여러분께 참 죄송하다”면서 “문체부 산하에 다중문화시설이 많은데 철저하게 점검하고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준비를 잘하겠다”고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