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뇌에 미세플라스틱 한 수저씩 있어…‘이 환자’ 특히 많다”

한 해변가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조각.[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우리 뇌의 0.5%는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있다.”

인체 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양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지구적으로 퍼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들 장기에도 점점 많이 쌓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뉴멕시코대 연구진이 3일(현지시간) 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시신 수십구를 해부해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추이를 조사한 결과, 2024년 초 시신들의 신장과 간에서는 2016년 시신들보다 7∼3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특히 두뇌의 경우 2016년에 비해 2024년에 50%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매슈 캠펜 교수는 “45∼50세 보통 사람들의 뇌 조직 1g당 4800μg(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며, 무게로 칠 때 0.48%”이라며 머리에 플라스틱 숟가락이 한 개씩 온전히 들어있는 것이라고 CNN에 설명했다.

특히 사망 전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았다. 이들 미세플라스틱은 동맥과 정맥의 벽, 두뇌 면역세포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다.

캠펜 교수는 “좀 충격적”이라며 “치매가 혈액뇌장벽(BBB·뇌와 혈액을 격리시키는 혈관 장벽)과 노폐물 제거 메커니즘이 손상되는 질병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상기시켰다.

다만 캠펜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이 치매 때문에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런 결과를 해석할 때 매우 주의해야 한다”며 “우리는 현재로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고는 추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세플라스틱이 특정 질병을 일으킨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보건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캠펜 교수는 “마이크로, 나노 플라스틱의 환경적 존재감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이 신경질환 등 인체 건강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내려고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