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연합] |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경찰이 3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의 비화폰(보안폰) 및 개인 휴대전화를 압수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정례 브리핑에서 이날 오전 두 사람의 주거지에 수사관들을 보내 개인 휴대전화와 업무용 휴대전화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비화폰 서버도 확보하기 위해 용산 대통령실 경내에 있는 경호처 사무실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8시간 넘는 대치 끝에 불발됐다. 경호처는 군사상 기밀, 공무상 등 이유로 서버 압수수색에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과 같은 불허 사유다.
경호처는 “요청 자료 중 제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임의제출 형식으로 최대한 협조했다”고 밝힌 반면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이미 확보한 자료를 제출했을 뿐 비화폰 서버 등은 확보하지 못했다”고 했다.
비화폰은 도감청·통화녹음 방지 프로그램이 깔린 보안 휴대전화다. 해당 서버에 담긴 자료가 수사 핵심 단서로 여겨진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경호처 내 ‘강경파’로 꼽힌다. 이들은 경찰의 윤대통령 1·2차 체포시도를 주도적으로 저지하고 지시를 따르지 않은 직원을 직무배제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 및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상 직권남용) 등을 받는다.
경찰은 지난달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이 보완 수사를 요구하며 재차 반려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범죄 혐의가 소명됐고 증거인멸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검찰이 보완 수사를 요구한 데 대해 유감”이라며 “향후 적극적으로 구속영장을 재신청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달 임의제출 받은 박종준 전 경호처장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김 차장 등의 혐의를 입증할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차장은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을 받는다. 박 전 차장은 경호처 내 대표적 ‘온건파’로 꼽힌다.
한편 경찰 특별수사단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이관했던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관련 사건을 다시 넘겨받아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내란죄 혐의로 입건된 이 전 장관은 계엄 당시 한겨레, 경향신문, MBC 등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의혹 등으로 공수처 조사를 받고 있었다. 해당 의혹을 증언한 허석곤 소방청장에 대해 공수처가 참고인 조사를 한 자료를 넘겨받아 살펴본 뒤 이 전 장관 소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특별수사단은 현재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53명을 입건했다.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이 계엄 전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을 만난 사실이 드러나며 내란 혐의로 추가 입건됐으며, 지난달 23일 소환 조사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