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7일부터 보조배터리 포함 수하물에 별도 표식”

에어부산,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 발표
휴대 수하물 내 보조배터리 소지 유무 사전 확인
“고객 불안 해소 및 안전한 여행 환경 확보에 만전 기할 것”


에어부산 여객기 [에어부산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에어부산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을 수립해 오는 7일부터 시행한다고 4일 발표했다.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가 크게 증가하며 발열 등 이상 현상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속한 초동조치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발견이 중요하다는 판단으로 이러한 정책을 수립하게 됐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먼저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탑승구에서 확인을 완료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한다.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가 있는지를 점검해 스티커나 택(TAG) 등의 별도 표식을 부착하고 기내에서는 표식이 부착된 수하물만 선반 보관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이 제도는 오는 7일부터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전 노선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를 전면 금지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을 고려해 탑승객 스스로의 점검을 유도하고 배터리의 이상 현상이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이번 정책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에어부산 ‘NO BATTERY INSIDE’ 스티커 및 택 이미지 [에어부산 제공]


아울러 에어부산은 예약·발권 및 탑승수속 단계에서 기존 안내에 더해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동의 절차를 시행하고, 출발 1일 전 예약 고객 대상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대고객 안내도 강화한다.

기내 안내 방송도 기존 2회에서 3회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에어부산은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내용으로 기내 안내 방송문을 보완해 1월 31일부터 이미 변경 적용하고 있다.

기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객실승무원 훈련도 대폭 강화한다. 에어부산은 교육용 화재진압 시범 동영상을 직접 제작해 전 승무원을 대상으로 즉시 교육을 실시하고, 화재 단계를 고려한 상황별 모의 훈련도 함께 진행한다.

이 외에도 에어부산은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및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도 구매해 항공기에 자체 구비하고, 승무원의 즉각적인 화재진압을 돕기 위해 방화 장갑을 기내에 추가 구비할 방침이다.

정병섭 에어부산 대표이사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손님들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부산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하게 됐다”라며 “사내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고취와 역량 강화를 비롯해 항공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서도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