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 악영향 우려에도…‘尹 옥중정치’에 휘둘리는 與 [이런 정치]

대통령실 참모·당 지도부 이어 7일 윤상현도 접견
“접견 일정 조율 어려워…가려는 의원 적지 않다”
‘옥중정치’ 경계에도 중진 의원 당심 확보 경쟁


윤석열 대통령 면회를 마친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이 탄 차량이 3일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빠져나오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주소현·김진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와 의원들이 앞다퉈 윤석열 대통령 구치소 접견을 도모하고 있다. 탄핵심판을 앞둔 윤 대통령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에도 극렬 지지층을 바라보고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5선·인천동구미추홀구을)은 오는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 구치소로 윤 대통령 접견을 갈 예정이다. 국민의힘 한 초선 의원도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했지만 조만간 접견을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중진 의원 측 관계자는 “면회 의사를 전하고 일정 조율 중”이라며 “조율이 쉽지 않은 것을 보니 가려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윤 대통령의 일반인 접견 금지 조치가 해제되면서 국민의힘 의원들 사이에서는 대통령을 접견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앞서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 참모들이 지난달 31일 윤 대통령을 찾았고, 전날인 3일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5선·서울 용산구)과 권성동 원내대표(5선·강원 강릉시), 나경원 의원(5선·서울 동작구)이 뒤를 이었다.

윤 대통령 접견은 이달 중순까지 정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형집행법 시행령에 따르면 접견은 일반 접견과 장소 변경 접견으로 나뉜다. 일반 접견의 경우 공휴일을 제외하고 일과 시간 중 1회 가능하며 장소가 협소해 최대 5인까지 동반 접견할 수 있다. 장소 변경 접견은 이른바 특별 면회로 별도 공간에서 접견하겠다고 신청을 하면, 구치소에서 회의를 통해 이를 받아들일지 결정한다. 주 1회 가능한 데다 접촉도 할 수 있어 통상 가족이 장소 변경 접견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같은 접견 일정에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출석, 향후 형사 재판 일정까지 고려하면 실제 윤 대통령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는 게 국민의힘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의원들이 윤 대통령 접견을 계획하는 배경에는 최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당 지지율이 깔려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극렬 지지층으로부터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는 의원들이 이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당 관계자는 “탄핵 반대 시위에 많은 인파가 집결하고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국민인데 이들의 여론을 무시할 수 있겠나”고 반문했다.

당 안팎에서는 의원들의 윤 대통령 접견이 중도 지지층으로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권 비대위원장과 권 원내대표 면회를 앞두고 김재섭 의원(초선·서울 도봉구)는 “대통령을 만나러 가는 모습은 아무래도 과거에 매몰되는 느낌”이라고 공개 비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조기 대선 국면에서) 족쇄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옥중정치’를 경계하는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대통령을 접견하는 건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 당 관계자는 “(자기 정치가) 100%”라며 “결국 의원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움직이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특히 5선급 중진 의원들이 접견에 앞장서는 건 사실상 당권을 염두에 둔 행보로 해석된다. 조기 대선 이후 내년 제9회 지방선거와 제23대 총선을 바라보고 일찌감치 당심 호소에 나섰다는 것이다. 한 지도부 의원은 “잘못된 일”이라며 “개인 차원이라도 면회 가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지도부 관계자도 “접견을 가고 싶어도 지도부라면 오히려 가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