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견 일정 조율 어려워…가려는 의원 적지 않다”
‘옥중정치’ 경계에도 중진 의원 당심 확보 경쟁
![]() |
윤석열 대통령 면회를 마친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이 탄 차량이 3일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빠져나오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주소현·김진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와 의원들이 앞다퉈 윤석열 대통령 구치소 접견을 도모하고 있다. 탄핵심판을 앞둔 윤 대통령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에도 극렬 지지층을 바라보고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5선·인천동구미추홀구을)은 오는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 구치소로 윤 대통령 접견을 갈 예정이다. 국민의힘 한 초선 의원도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했지만 조만간 접견을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중진 의원 측 관계자는 “면회 의사를 전하고 일정 조율 중”이라며 “조율이 쉽지 않은 것을 보니 가려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윤 대통령의 일반인 접견 금지 조치가 해제되면서 국민의힘 의원들 사이에서는 대통령을 접견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앞서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 참모들이 지난달 31일 윤 대통령을 찾았고, 전날인 3일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5선·서울 용산구)과 권성동 원내대표(5선·강원 강릉시), 나경원 의원(5선·서울 동작구)이 뒤를 이었다.
윤 대통령 접견은 이달 중순까지 정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형집행법 시행령에 따르면 접견은 일반 접견과 장소 변경 접견으로 나뉜다. 일반 접견의 경우 공휴일을 제외하고 일과 시간 중 1회 가능하며 장소가 협소해 최대 5인까지 동반 접견할 수 있다. 장소 변경 접견은 이른바 특별 면회로 별도 공간에서 접견하겠다고 신청을 하면, 구치소에서 회의를 통해 이를 받아들일지 결정한다. 주 1회 가능한 데다 접촉도 할 수 있어 통상 가족이 장소 변경 접견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같은 접견 일정에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출석, 향후 형사 재판 일정까지 고려하면 실제 윤 대통령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는 게 국민의힘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의원들이 윤 대통령 접견을 계획하는 배경에는 최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당 지지율이 깔려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극렬 지지층으로부터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는 의원들이 이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당 관계자는 “탄핵 반대 시위에 많은 인파가 집결하고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국민인데 이들의 여론을 무시할 수 있겠나”고 반문했다.
당 안팎에서는 의원들의 윤 대통령 접견이 중도 지지층으로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권 비대위원장과 권 원내대표 면회를 앞두고 김재섭 의원(초선·서울 도봉구)는 “대통령을 만나러 가는 모습은 아무래도 과거에 매몰되는 느낌”이라고 공개 비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조기 대선 국면에서) 족쇄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옥중정치’를 경계하는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대통령을 접견하는 건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 당 관계자는 “(자기 정치가) 100%”라며 “결국 의원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움직이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특히 5선급 중진 의원들이 접견에 앞장서는 건 사실상 당권을 염두에 둔 행보로 해석된다. 조기 대선 이후 내년 제9회 지방선거와 제23대 총선을 바라보고 일찌감치 당심 호소에 나섰다는 것이다. 한 지도부 의원은 “잘못된 일”이라며 “개인 차원이라도 면회 가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지도부 관계자도 “접견을 가고 싶어도 지도부라면 오히려 가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