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기술분야별 전문위원 합동 워크숍에서 발언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산하 10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하고 산·학·연 전문가 165명을 전문위원을 신규 위촉했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산하 전문위원회는 매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기술분야별 투자전략 마련,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검토 등 정부의 연구개발 정책 및 투자에 관한 다양한 안건과 사업에 대한 자문과 검토를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신규 구성한 전문위원회는 인공지능, 첨단바이오, 양자 등 기술 발전 심화에 따른 기술 분야별 전문성을 보다 강화하고 증가하는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에 대한 세부적이고 심도있는 검토를 위해 ICT·융합 전문위원회에서 인공지능·ICT전문위원회, 양자·반도체전문위원회 등으로 세분화(기존 8개 → 변경 11개)하여 강화했며, 전문위원 수도 기존 131명에서 165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과기정통부는 5일 서울 엘타워에서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산하 기술분야별 전문위원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은 새롭게 구성된 전문위원 165명에 대한 위촉장 수여를 시작으로 정부연구개발 예산배분·조정 절차, 전문위원 역할 등에 대한 강의를 통해 전문위원들의 정부연구개발 예산 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3월 중순에 예정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수립을 위한 기술 분야별 투자방향을 논의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기술패권시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기술경쟁에 직면해 있지만, 딥시크처럼 대한민국도 빅테크에 맞서 언제든지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면서 “혁신을 위해서는 국가 전략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인 만큼 필요한 곳에 선택과 집중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발휘해 주시고 지혜를 모아달라”면서 전문위원의 역할을 당부했다.
과기정통부는 예산배분·조정 심의를 위해 찾아가는 연구개발사업 컨설팅을 통해 사전 예비검토를 진행하고 6월 말까지 주요 연구개발 예산에 대한 배분·조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