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싹 다 잡아들여’는 “간첩 잡으라는 것…계엄과 무관” [세상&]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
이진우·여인형·홍장원 증인 출석
국회 군 투입, 체포조 운용 집중 포화
尹 “국정원이 방첩사 도와 ‘간첩’ 잡으라는 것”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12·3 비상계엄 당시 ‘체포조’ 의혹과 관련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맞붙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의 통화를 통해 체포조 지원을 지시받았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과의 전화는 계엄과 관련 없는 ‘격려’ 전화였다고 반박했다.

헌법재판소는 4일 오후 2시부터 8시 46분까지 약 6시간 40여분 동안 5차 변론기일을 진행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됐다. 이 전 사령관에게는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의 국회 진입과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방해와 관련된 질문이 이어졌다. 여 전 사령관과 홍 전 차장에 대해서는 주로 ‘체포조’ 관련 내용이 나왔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과의 통화 ‘타임라인’을 읊어가며 체포조 지원을 지시받았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이 제출한 통신 기록에 따르면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인 저녁 10시 53분께 윤 대통령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당시 전화로“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라. 싹 다 정리해라”, “국정원에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우선 방첩사를 도와라”,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다만 당시 윤 대통령이 직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대상자를 지목하지 않았고, 잡아들이라는 의미 또한 정치인으로 받아들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은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여 전 사령관은 ‘지금 국회는 경찰과 협조해 봉쇄하고 있다’, ‘선배님이 도와 달라’, ‘체포조가 나가 있는데 소재 파악이 되지 않는다’, ‘명단 불러드리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홍 전 차장은 바깥에서 여 전 사령관과 통화를 하며 수첩을 꺼내 메모를 했고, 사무실로 돌아와 보좌관에게 정리를 맡겼다고 한다. 홍 전 차장은 “여 전 사령관이 사용한 단어가 ‘체포조’ 맞느냐”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 증인신문이 종료된 이후에 직접 부인했다.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은 오후 8시 22분과 홍 전 차장과 통화를 했고, 10시 53분 2차례 통화를 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전인 오후 8시께 조태용 국정원장이 해외에 있다고 착각해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국정원장이 부재중이니 (직무대행으로서) 국정원을 잘 챙기라고 했다. 혹시 곧 전화할 일이 생길지 모르니 비화폰을 잘 챙기고 있으라고 말했다”고 했다. 이후 오후 10시 53분 통화 내용은 비상계엄이 아닌 ‘격려’차원의 전화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상황에 대해 국정원에 지시할 것이 있었다면 국정원장에게 직접 전화했을 것이다. 차장에게 전화할 이유가 없다”며 “계엄 관련은 국정원장과 다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다”고 했다. 이어 “국정원은 간첩 검거와 관련해 수사권이 없으니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것이었다”며 “김규현 국정원장, 조태용 국정원장에게도 늘 하던 이야기”라고 했다. 국정원이 정보가 많으니 ‘간첩 수사’를 위해 방첩사를 지원하라고 했다는 취지다.

반면 홍 전 차장은 ‘대통령과 통화 시 간첩이 언급된 적 있었느냐’라는 질문에 “없었다”고 대답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