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된 생명연, 바이오 대표 ‘첨단 R&D 허브’로 우뚝

“전직원 ‘위대한 연구원’ 조성 동참”
김장성 원장 설립 기념식서 당부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이 4일 설립 4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끌어 갈 중심축이다. ‘위대한 연구원’으로 만드는 긴 여정에 전 직원이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은 지난 4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설립 제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1985년에 설립된 생명연은 예산 16억원, 직원 90여명으로 시작해 현재 예산 2300억원, 1300여명의 인력을 보유한 바이오분야 대한민국 대표기관을 발돋움했다. 생명연은 지난 40년동안 초소형 핵산분해효소 활용 유전자가위기술 개발, 항암 유전자 치료제 CAR-NK 플랫폼 구축 및 상용화 등 국가 바이오를 선도하고, 산·학·연·병의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하며, 바이오 분야 대표 R&D 허브로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생명연은 국가전략기술의 핵심분야 중 하나인 첨단바이오 분야를 선도하며 기존 바이오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개발 사업단’과 ‘글로벌 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출연연구기관 간 개방형 협력을 통한 국가 전략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1260억원 규모의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정용래 유성구청장,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등 과학기술계 주요인사들이 총출동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KRIBB상에는 세계 최초로 단일분자 수준에서 측정이 가능한 고효율 신약발굴용 나노포어 센서를 개발한 ‘구조생물학 및 나노포어 연구팀’과 유전성·강직성 하반신 대마비의 원인 유전자인 ARL6IP 기전을 규명한 ‘질환모델링 & 치료기술 연구팀’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위장 튼튼·오가노이드 연구팀이 우수기술개발상을, 이영전 국가영장류센터 책임연구원이 우수인프라상을, 사업기획팀과 사업지원실이 각각 우수행정상을 수상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생명연 원장을 역임한 복성해 박사(바이오뉴트리젠 대표이사)가 발전기금 1억원을 기부했다.

바이오뉴트리젠은 간 건강 회복 식품소재 개발 등 건강식품, 식품첨가제 등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회사로 대표 제품인 JBB20은 프랑스 및 러시아에서 실시된 임상실험에서 지방간 예방 및 치료 성능을 나타냈다.

복성해 박사는 “바이오기술은 국가전략기술의 핵심으로 생명연이 바이오경제를 견인하는 구심점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기부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장성 원장은 “생명연이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끌어 가는 중심축으로서 좋은 연구원을 넘어 위대한 연구원으로의(Good to Great)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성장하고 노력하여 위대한 연구원을 만드는 긴 여정에 모든 직원이 적극적으로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구본혁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