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다발골수종센터 민창기·박성수 교수, 진단검사의학과 박명신 교수,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안아리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대표적인 혈액암 중 하나인 다발골수종의 재발 위험을 1시간 내 정밀하게 진단하는 유전자 검사법의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새롭게 개발된 ‘미세잔존암 평가’는 기존 검사법 대비 검사비도 낮아 치료비 부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다발골수종센터 민창기·박성수, 진단검사의학과 박명신,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안아리 교수 연구팀은 미세잔존암의 새로운 평가법을 진료현장에 확대 적용하고자 연구를 계획했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2019년부터 세포분석 항체 패널을 활용한 미세잔존암 평가를 개발, 다발골수종 환자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미세잔존암 검사는 최소 1만개 이상 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고전적인 다발골수종 평가 방법은 약 1000개의 세포 중 다발골수종 암세포 관련 정보가 있다는 걸 평가하는 데에 그쳤지만, 최근엔 100만개 세포 중 단 1개 암세포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연구팀은 항암과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를 받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조혈모세포이식 치료 후 3~5개월에 국제골수종학회에서 제시한 ‘매우 좋은 치료 반응 기준’에 해당하는 총 166명의 환자를 선별했다.
환자의 골수 샘플을 새로 개발한 미세잔존암 평가법으로 검사한 결과, 음성 상태를 1년이상 유지한 환자 114명은 재발 위험이 크게 감소하고 생존율도 향상된 걸 확인했다.
다발골수종은 백혈병과 함께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꼽힌다. 초기 치료 후 대부분 호전되고, 많은 신약이 개발되면서 생존율이 괄목하게 향상된 질환이지만 재발이 잦은 게 문제다. 이 때문에 미세잔존암 평가는 다발골수종 환자에는 필수이지만, 국내에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범용성이 부족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미세잔존암 측정 기술을 현장에 정착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민창기 교수는 “이번에 새로 개발한 미세잔존암 평가에서 음성의 환자는 재발 위험이 낮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환자 개인별 맞춤형 치료로 다발골수종 치료 성과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김명신 교수도 “이처럼 미세잔존암 검사는 단순히 질병 경과를 평가하는 것을 넘어,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 강도를 조절하는 ‘개인최적 맞춤치료’에 필수적”이라며 “혈액암 치료 후 아주 미량이라도 남아있는 미세잔존암을 정밀하게 찾는 데 주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혈액학회공식저널(Haematologica, IF 8.2)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