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인간 실수에는 관대하지만 AI에 엄격”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한국을 방문 중인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4일 한국 시장 확대 방침을 분명히 했다.
올트먼 CEO는 이날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오픈AI 비공개 워크숍 ‘빌더 랩’에서 한국 시장 확대 방침을 묻는 참석자의 질문에 “물론이다”라고 답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올트먼은 “한국은 반도체, 에너지 등 AI(인공지능)와 관련된 강력한 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오픈AI 공식 행사를 계기로 세 번째로 방한한 올트먼은 이날 최태원 SK 회장과 면담했다.
카카오와는 공동 사업을 발표할 계획이고, 오후에는 삼성 서초사옥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난다.
중국 딥시크의 맹추격에 맞서 동맹과 확고한 확장적 AI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는 모습이다.
올트먼은 행사에서 “거대언어모델(LLM)은 계속해서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며 “현재의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을 목표로 한다면 모델이 발전하면서 사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LLM의 장점을 활용하는 제품을 만든다면, 모델이 발전할수록 더 가치 있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 스타트업을 운영하며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나올 때마다 많은 기업이 ‘기존 비즈니스 원칙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식의 접근을 하는 것을 많이 봤다”며 “그러나 강력한 고객 기반을 형성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성장하기 어려우며, 이는 AI 스타트업에도 동일하다”고 조언했다.
AI 데이터 정확성 문제에 대해선 “GPT2는 50%의 오류를 냈고, GPT3는 20%, GPT4는 2%로 줄어들었다. o시리즈는 오류율이 1천분의 1 수준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인간도 종종 실수를 하지만, AI는 더 빠르고 정확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람들은 인간이 실수하는 것에는 관대하지만, AI가 실수하는 것에는 훨씬 엄격하다”며 “자율주행차가 인간보다 5배 더 안전하더라도, 사람들은 1만배 안전해야 받아들일 것이다. 같은 원리가 AI 의사에게도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트먼은 또 “우리는 AI 인터스페이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특정 분야의 설루션을 구축하는 것은 파트너들에게 맡길 계획”이라며 “다중 LLM 서비스는 현재 연구 중이며, 더 나은 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딥시크가 사용 중인 오픈소스 모델과 관련해선 “우리의 강점은 최고의 연구진, 인프라,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최고의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며 “오픈소스 전략도 고려 중이지만, 아직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확인했다.
그는 “과거에는 설루션 엔지니어링이 더 중요했지만, 이제는 소규모 데이터로도 고성능 튜닝이 가능해졌다”며 “앞으로는 맞춤형 모델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점점 이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로보틱스 연구와 관련해선 “과거에 로보틱스 연구를 했지만 당시에는 너무 이른 시기였다”며 “하지만 최근 비디오 모델과 기계공학의 발전으로 다시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석한 케빈 웨일 오픈AI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행사에서 “우리는 특정 고객과 협력해 맞춤형 모델을 학습시키는 작업도 진행한다”AU “특정 기업의 비공개 데이터를 활용해 모델을 미세 조정할 수 있지만, 해당 데이터는 절대 공개 모델로 돌아가지 않는다”면서 딥시크의 데이터 보안 문제를 겨냥한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웨일 CPO는 의료용 AI 개발과 관련해선 “현재 기업용 제품에 HIPAA(미국 건강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직접 의료 설루션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분야에서 혁신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관련 그룹들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