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휴전안 ‘5년내 가자지구 재건’은 불가능”…주민이주 방안 고수

“치우는 데만 3~5년 걸릴 것으로 추산” “5년내 돌아갈 수 있다고 설명하기 어려워”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가 지난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대화하고 있다.[로이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으로 파괴된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는 4일(현지시간) 백악관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한 휴전안의 3단계에서 가자지구 재건에 걸리는 기간을 5년으로 상정한 점을 지적하며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위트코프 특사는 5년 안에 가자지구 재건은 불가능하다면서 인도적 차원에서라도 주민 이주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가자지구 곳곳에 불발탄이 있고, 건물들이 언제 무너질지 알 수 없는 데다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서비스가 끊겨 사람이 살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트코프 특사는 또 하마스가 지하에 터널을 파놓은 탓에 약해진 지반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지면 아래를 들여다보고, (재건) 계획 수립 전 치우는 데만 3∼5년이 걸릴 것으로 추산한다”면서 “팔레스타인인들에게 5년 뒤에는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은 부당하다. 그건 그냥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달 19일부터 교전을 멈추고 생존 인질 33명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1904명을 교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6주간의 휴전 1단계에 들어갔다.

미국을 방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에서 휴전 다음 단계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휴전 2단계에서 모든 인질 송환과 이스라엘군 완전 철수를 협상하고, 이후 3단계에서는 영구 휴전과 가자지구 재건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 아랍국가로 이주시킨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 국가로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고, 주민 강제 이주에 반대해온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완전히 다른 접근이다.

가자지구 주민들은 이주에 반대하고 있고, 주변 아랍 국가들도 이들을 수용하기를 원하지 않는 상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요르단,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5개 아랍국가 외무장관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이주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날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어디로 갈 수 있냐는 질문에 “우리는 역내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에 기대하고 있다. 우리는 이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답했다.

왈츠 보좌관은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내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러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도 언급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