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韓 R&D 경쟁력 진단

- 2025 네이처 컨퍼런스 개최


KAIST 학생들.[헤럴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와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가 함께 ‘2025 네이처 컨퍼런스’를 5~7일 3일간 KAIST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5일 네이처 인덱스(Index)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정책포럼을 시작으로, 6~7일은 ‘인공지능을 위한 신소재, 신소재를 위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한다.

5일 정책포럼에서는 ‘불확실한 세계에서 성장하는 한국의 연구 성과’를 주제로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 전문가, 과학자 및 공학자가 한자리에 모여 한국 과학기술 생태계가 직면한 도전 과제와 잠재적 기회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우리나라 과학기술계의 주요 논의 사항으로 3가지를 다루며, 주제별 소개 및 기조강연 후 패널 토론 순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한국 연구의 국제협력 개선 방안으로 ▷국제 협력 R&D 정책 지원의 방법으로 상향식(Bottom-up) 대(對) 하향식(Top-down) 비교·분석 ▷효과적 국제 협력 R&D 분야 및 연구자 도출 ▷북미 국가와의 파트너십 강화 또는 북미 이외의 지역으로 외연 확장 ▷자금 지원 방향성 등을 논의한다.

과학기술 인재의 안정적이고 강력한 확보 방안에 관하여, 인구 절벽 상황에 놓인 한국 사회에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ematics) 분야의 고급 인재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기 위한 대학(원) 교육의 개선 방향성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한국의 연구 지원 및 평가 방식 등 R&D 성과 개선방안에 관해, 한국 연구 시스템의 현황 진단을 통해 어떤 것을 측정하고 판단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성공이라고 간주하는지 등을 살펴본다. 또한 우수한 연구를 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을 지원하는 것과 다양한 연구에 재분배적 측면에서 지원하는 것 등 R&D 재원 투자 정책 방향에 내재된 갈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네이처 인덱스는 지난해 8월 한국 특집호를 통해 ‘한국이 많은 R&D 투자에도 불구하고 경쟁국에 비해 부족한 성과 창출’ 등을 지적하며, ‘국가 전반적인 과학기술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으며, 산·학 연계 강화, 안정적인 우수 학생 자원 확보, 연구 인력 내 여성 비율 확충, 국제 협력 강화 등을 해결책으로 제안한 바 있다.

KAIST 연구진.[헤럴드DB]


최문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장은 작년 네이처 인덱스의 한국 특집호에 관하여, 산업화와 응용·개발 연구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은 한국의 R&D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등의 다소 아쉬운 측면이 있다고 보고, 한국이 R&D 시스템의 변곡점에서 그간의 강점과 약점을 돌아보고 새로운 과학기술 혁신이 필수적인 지점을 식별하는 것이 특별호의 취지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KAIST 신소재공학과와 네이처 주관의 행사로 AI 및 신소재 분야 간 융합 측면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를 갖는다. 기조연설자 4명 등 17명의 강연자, 네이처 편집장 4명, KAIST 교수 등 총 25명의 관련 전문가가 참여해 기조강연과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홍승범 KAIST 교무처장은 “KAIST와 네이처의 협업 결과물이자, 새로운 시작인 이번 컨퍼런스는 국내 연구자들의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에 큰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며 “AI·신소재 뿐 아니라 한국의 과학기술 연구 성과가 국제적 수준 이상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