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39%-민주 37%…오차범위 접전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은 지난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하는 모습. 이상섭 기자 |
[헤럴드경제=안대용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적합도’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설 연휴가 지난 2월에도 2위와 오차범위를 넘는 차이로 1위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6일 공개됐다. 해당 기관의 올해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3~5일 만 18세 이상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감으로 가장 적합한 인물로 이 대표를 응답한 비율은 32%로 조사됐다.
![]() |
[NBS 제공] |
올해 발표된 전국지표조사를 보면 이 대표는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1월 2주차 31%, 1월 3주차 28%, 1월 4주차 28%를 각각 기록했다. 조사마다 2위와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며 1위를 차지했는데, 이번 조사에선 직전 조사(1월 4주차)보다 4%포인트(p)가 올랐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2%를 얻어 재차 2위를 기록했다. 현 여권 인사 중에선 가장 앞섰다. 1위 이 대표와 2위 김 장관의 격차는 20%p다. 김 장관은 1월 3주차 13%, 1월 4주차 14%를 각각 기록했었다.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 8%, 홍준표 대구시장 7%,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로 집계됐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3%,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우원식 국회의장·김동연 경기도지사 각각 2%,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각각 1%로 나타났다. ‘그외 다른 사람’이 1%를 기록했고, ‘태도유보(없다+모름/무응답)’ 의견이 24% 비율로 나타났다.
![]() |
[NBS 제공] |
‘대선후보 호감도’ 조사에선 이 대표가 37%로 1위를 차지했다. 대선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 각각에 대해 호감이 가는지 질문한 결과로, 이 대표에 대해 ‘호감이 간다’고 답한 비율이 3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에 대한 호감 여부 질문 관련 전체 100% 중 호감이 간다고 답한 비율)
오 시장이 27%, 김 장관이 26%, 홍 시장이 23%, 한 전 대표가 20%를 각각 기록했다.
![]() |
[NBS 제공] |
올해 대선이 치러진다면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엔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37%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후보 36%, ‘조국혁신당’ 후보 2%, ‘개혁신당’ 후보 2%, ‘태도유보(없다+모름/무응답)’ 21%로 각각 집계됐다.
![]() |
[NBS 제공] |
정당지지도의 경우 국민의힘은 39%, 민주당은 37%로 나타났다.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다. 직전 조사(1월 4주차)에서도 국민의힘 38%, 민주당 36%로 양당 지지도가 오차범위 내에 있었다.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2%로 각각 집계됐다.
![]() |
[NBS 제공] |
대선 인식과 관련한 질문에는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50%를 기록했다. ‘정권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1%로 나타났다.
![]() |
[NBS 제공]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헌법재판소가 어떤 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엔,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비율이 55%로 조사됐다.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40%를 나타냈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대응을 묻는 질문에는 ‘잘하고 있다’ 38%, ‘잘못하고 있다’ 56%로 각각 조사됐다.
![]() |
[NBS 제공] |
헌법재판소가 심리 중인 윤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 대한 신뢰도 질문에는 ‘신뢰한다’(매우+신뢰하는 편)는 긍정 인식이 52%로 집계됐다.
‘신뢰하지 않는다’(전혀+신뢰하지 않는 편)는 부정 인식은 43%였고, ‘모름/무응답’ 5%로 각각 나타났다.
![]() |
[NBS 제공]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내란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것과 관련해선 ‘특검의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하므로 거부권 행사는 잘못한 결정’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나타났다.
‘이미 사법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거부권 행사는 잘한 결정’이라는 응답은 38%였다. ‘모름/무응답’은 11%로 집계됐다.
![]() |
[NBS 제공] |
지난 설 연휴 기간 동안 만난 사람들과의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는지와 관련한 조사(복수응답) ‘정치 이야기’가 5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제 이야기’ 50% , ‘재난에 대한 이야기’ 38%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20.0%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전국지표조사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