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딥시크 [AP] |
[헤럴드경제=차민주·권제인 기자] SK텔레콤은 6일 사내 공지를 통해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를 업무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라고 안내했다. 딥시크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커지면서 딥시크 사용금지령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6일 IT업계에 따르면 SKT 보안관제센터는 “딥시크는 과도한 정보수집에 대한 논란이 있는 만큼 이용에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안내했다. 또한“생성형 AI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학습해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줄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개인정보 및 회사 내부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당부 드린다”고 공지했다.
SKT는 지난 3일부터 구성원의 생성형 AI 서비스 활용과 관련해 정보보호 서약을 진행 중이다. 해당 서약에 따르면 SKT 구성원은 ‘마이 데스크(VDI)’ 외부에서 오픈AI의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할 때 고객 정보, 민감정보를 대화창에 입력해선 안 된다. 또한, 정책·전략·기술 등이 포함된 회사 내부자료와 내부 프로그래밍 코드를 업로드해선 안 된다.
기업정보가 유출될 것이란 우려가 퍼지면서 국내 대표 ICT 기업들은 딥시크 사용을 속속 금지하고 나섰다.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국내 ICT 기업이 딥시크 사용을 차단한 첫 사례다.
LG유플러스도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사내망에서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딥시크의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직원 개인 PC를 이용해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다고 권고했다.
네이버는 딥시크를 특정하진 않았지만, ‘대화형 AI 서비스 이용에 대한 주의사항’에 따라 외부 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태의 서비스는 업무 목적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