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불확실성 시대, 혁신을 동력으로’ 주제
손 회장 “기업 경쟁력 확보 위한 국가적 지원 필요”
전광우 이사장·이우현 회장 등 특강 진행
![]() |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경총 제공] |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는 6일부터 7일까지 이틀 동안 서울 조선호텔에서 ‘초불확실성 시대, 혁신을 동력으로’를 대주제로 제3회 한국최고경영자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이날 포럼 개회사에서 “기업의 성장·발전은 곧 국가경제의 발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우리 기업이 초불확실성 시대에 혁신을 통해 성장을 주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올해는 특히 디지털·인공지능(AI)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 지난달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구조적 전환기를 맞아 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기업들의 끊임없는 혁신과 투자 필요성도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새로운 한·미 통상환경 속에서 미국이 변함없는 무역과 투자 파트너로 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등 주요 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기업의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한 최우선 실행 과제로 ‘근로시간제도의 유연성 확대’와 ‘임금체계 개편’ 등 국가 경쟁력과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각종 낡은 법과 제도 개선을 꼽았다.
그는 “근로시간 유연화는 주 52시간이라는 큰 틀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시기에 일을 좀 더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연구개발직과 고소득 전문직 등은 근로자가 동의한다면 근로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그러면서 “생산성과 괴리된 현행 연공급 임금체계 하에서 법정 정년연장은 대기업조차도 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고, 일자리를 둘러싼 세대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라며 “단지 오래 근무한 사람이 아니라 생산성이 높은 사람이 더 많은 임금을 받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개편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포럼은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의 기조강연을 비롯해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의 CEO(최고경영자) 특강, 권기섭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정책특강, ‘2000년생이 온다’의 저자 임홍택 작가의 소통 특강,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부총장의 AI특강 등으로 구성됐다.
전광우 이사장은 ‘2025년 글로벌 경제환경과 한국기업의 경영전략’을 주제로 신년 우리 경제의 대내외 상황과 각종 리스크와 기업들의 대비책을 조명하고, 이우현 회장은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트렌드 속 한국의 경쟁력과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강연한다. 미국과 글로벌 정치 전문가로 알려진 서정건 경희대 교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미 통상환경과 외교안보 등에 대해 짚어본다.
경총 관계자는 “이번 포럼의 대주제를 ‘초불확실성 시대, 혁신을 동력으로’라고 정한 만큼, 포럼을 통해 우리 경제가 처한 초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을 동력으로 만드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