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동해가스전 ‘대왕고래’ 1차 시추결과, 경제성 확보 수준 아니다”

“가스징후 일부 확인, 석유시스템 구조는 양호 확인”

내달부터 외자 유치해 후속 시추 진행 추진

 

0002425046_001_20250206160016724
시추선 웨스트카펠라호 [한국석유공사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인 ‘대왕고래’에서 처음 진행된 탐사시추에서경제성을 확보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발표했다.

이로써 야권을 중심으로 대왕고래 사업이 불투명하게 진행됐다고 비판해온 상황에서 1차 시도에서 뚜렷한 성공 가능성이 확인되지는 못하면서 추가 사업 동력 약화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음을 확인했지만 그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은 대왕고래 유망구조 첫 탐사시추가 최근 끝난 가운데 이뤄졌다. 작년 12월 20일부터 진행된 첫 탐사시추는 지난 4일 끝났다. 시추선 웨스트카펠라호는 전날 부산항에서 출항해 떠났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해수면 아래 3천m 이상 깊이의 해저까지 파내려가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나오는 진흙을 채취해 검사하는 ‘이수 검층’ 결과 목표 유망구조 주변에서 미세한 수준이나 여타 지점보다 높은 수준의 가스가 검출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런 수치가 경제성을 확인하는 수준에는 크게 못 미쳐 대왕고래 유망구조에서 추가 탐사를 진행할 필요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포화도 수치가 경제적으로 생산 광구로 전환하거나 추가 탐사시추 할 만큼의 수치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양한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 가스 포화도로는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는 보기 어렵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번 탐사시추를 통해 대왕고래 구조가 이전 물리탐사 과정에서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석유나 가스를 담을 수 있는 석유 시스템 구조 자체는 양호했다고 보고, 향후 추가 탐사를 이어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정부와 석유공사는 20%의 성공 확률을 고려해 향후 수년에 걸쳐 최소 5번의 탐사시추가 필요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지만 전반적으로 양호한 석유 시스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시추 중 획득한 시료 데이터는 나머지 6개 유망구조 후속 탐사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석유공사는 물리탐사 자료 분석을 통해 ‘대왕고래’를 비롯한 동해 7개 유망구조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가스·석유가 매장됐을 수 있다고 보고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정부는 대왕고래 유망구조를 대상으로 한 첫 탐사시추 데이터를 활용해 남은 6개 유망구조 탐사시추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유망성 용역 자료를 실제 탐사시추 결과와 비교한 결과, 가스 징후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전반적 석유 시스템의 관점에서 (용역)자료의 신뢰성 확보할 수 있었다”며 “향후 오차 보정 통해서 탐사가 진행된다면 더 많은 오류를 보정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계획했던 대로 2차 시추부터는 해외 오일 메이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석유공사와 합작 형태로 진행하게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올해 3월부터 투자유치 절차를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1차는 석유공사가 전적으로 추진했지만 어느 가스전 유전이나 리스크 저감 노력은 한다”며 “투자 유치 통해서 주요 메이저 기업의 평가가 입증된다면, 국민들을 설득할 중요 의미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최대한 투자 유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