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딥시크 [로이터] |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정부 부처들이 중국 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속속 차단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에 이어 법제처, 감사원 등도 이번주 딥시크 제한 조치에 나섰다. 딥시크가 전세계에 파장을 일으키면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달 딥시크 대응방안 등을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 회의에서 논의한다.
전일(6일) 감사원, 법제처, 교육부 등은 딥시크 접속 차단을 시작했다. 대검찰청도 이날(7일) 오전 8시부터 이같은 조치에 나섰다. 이런 움직임은 지자체로도 확산되는 중이다.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한다는 논란이 나오면서 각 기관별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 부처와 17개 지방자치단체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지속 제기되는 상황을 고려해 신중한 이용을 당부드린다”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조속한 검토를 거쳐 필요시 개인정보를 걱정 없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했다.
대통령실도 딥시크 사태가 미칠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달 30일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딥시크 사태에 대한 향후 계획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최 권한대행은 이달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 회의를 열고 소속 전문가들과 함께 딥시크의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최 권한대행은 지난 5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 중국 기업의 딥시크 출시 등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계속 등장하고 있다”며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고 최소 34조원 이상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