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내리자, 작년 4분기 서울 상업·업무시설 거래 35% 급증

밸류맵 상업·업무시설 거래 분석
전국 거래량 3316건…5% 늘어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작년 4분기 서울 상업·업무시설 거래가 활기를 띤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세가 살아나기 시작했다는 관측이다. 최저치를 기록한 전년도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10일 토지거래 플랫폼 밸류맵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의 상업·업무시설 거래량은 작년 4분기 기준 479건(예상)으로 1년 전보다 35% 뛰었다. 지난해 미국에 이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얼어붙은 투자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강남구(85건)·마포구(42건)·종로구(42건)·중구(42건)·서초구(32건)·용산구(27) 순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서울의 3.3㎡당 토지평단가는 9927만원(토지 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상승했다.

강남구의 상업·업무 시설 거래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1조7300억원으로 나타났다. 100억원~500억원 건물의 비중이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이 중 거래량 상위 지역으로는 논현동(13건)·역삼동(12건)·신사동(10건)·대치동(7건)·서초동(4건)·청담동(3건) 등이 꼽혔다.

서울을 포함한 전국 상업·업무시설 거래량은 3316건(잠정)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다. 가격은 3.3㎡당 2289만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27% 증가했다.

시·도별로 거래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경기도(769건)였다. 이어 서울(479건)·경북(269건)·경남(229건)·부산(220건)·충남(21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전 분기에 이어 연속으로 거래량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도·경북·경남·부산 등으로 집계됐다.

전국에서 거래량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부산이었다. 전 분기 대비 거래량이 47% 늘었다. 부산 연제구·강서구·사상구 등 노후한 구도심을 중심으로 정비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충남(38%)·전북(38%)·전남(35%)·울산(33%)·경북(30%)·인천(27%) 순으로 나타났다.

정경진 밸류맵 시장분석팀 팀장은 “상업·업무시설 시장은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으로 작년 말부터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지자 거래량이 증가했다”며 “부동산 시장 혹한기를 거치면서 가격 조정이 이뤄지자 거래량이 살아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에선 서초구의 거래량을 살펴보면 시장 심리를 알 수 있다”며 “서초구는 강남3구에 속하지만 2023년 4분기 거래량이 15건을 밑돌 정도로 거래가 정체됐고 이는 상업·업무시설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서초구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상업·업무시설 가격이 낮았던 방배동이 주목받으며 전체 거래량 상승을 이끌었다”고 덧붙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