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관세 보복에 무반응…추가 관세냐, 정상간 대화냐 기로

미 석탄·LNG에 15%, 대형차·픽업트럭 10%

미국, 작년 중국과 무역서 약 2954억달러 적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 국제공항에서 미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손을 흔들고 있다.[AP]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10% 보편 관세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자 미국은 일단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의 대중(對中) 10% 보편 관세는 미 동부시간으로 지난 4일 0시부터 발효됐다. 이에 중국은 베이징 시간 10일 0시(미 동부시간 9일 오전 11시)부터 맞대응 조처를 시행했다.

중국은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 등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각각 물렸다.구글 등 미국 기업에 대해서는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 등으로 대응한다.

미국이 먼저 중국에 관세 공격을 가했고, 중국의 맞대응은 예상된 수순이었다.

미 상무부가 지난 5일 발표한 지난해 무역수지 현황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2954억 달러(약 430조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대중 관세가 발효된 지난 4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중국의 보복 조처에 대해 취재진 질문에 “괜찮다”(that‘s fine)라고 밝힌 바 있다.

향후 미국은 대중 관세율을 더 높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대중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보면 “중국이 이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의 중국으로의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거나 유사한 조처를 하는 경우 대통령은 이 행정명령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대중) 관세율을 인상하거나 확대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다만, 미중의 관세 전쟁은 향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담판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하지만 시 주석은 트럼프의 도발에 아직 직접 나서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 부과 전날인 지난 3일 시 주석과 “24시간 이내”에 통화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이웃 국가인 캐나다·멕시코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지난 3일 두 나라 정상과의 통화에서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한 것처럼, 중국에 대해서도 양국간 관세 문제를 톱다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낳았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통화는 중국의 맞불 조처가 나온 이날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시 주석과의 통화에 대해 “적절한 때에 이뤄질 것이다. 서두르지 않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의 보편 관세 부과 배경으로 중국 당국이 중국 화학 업체에 보조금과 기타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미국으로의 펜타닐 불법 유입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이런 주장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