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윤철(오른쪽) 박사가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을 들어 보이고 있다.[한국전기연구원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KAIST 변혜령 교수팀과 함께 전고체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더 빠르고, 품질 좋게 만드는 ‘업그레이드형 공침법’을 개발했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극히 낮은 고체로 대체한 것이다.
고체전해질은 제조가 어렵고, 비싸기로 유명한데, 하윤철 박사팀은 지난 2021년, 고가의 황화리튬(Li2S) 없이 원료들을 한꺼번에 용기에 넣어 용액 공정으로 고체전해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침법’을 제안해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기존 방식 대비 원료비를 대폭 절감하고, 고에너지 밀링이나 증발 공정이 필요 없는 획기적인 기술로, 국내 전기·전자재료 전문 기업인 ㈜대주전자재료에 기술이 이전됐었다.
공동 연구팀은 용해·공침 현상의 상세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고체전해질 생산 시간 단축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최적화된 업그레이드형 공침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공침법은 원료를 고르게 용액 속에 녹여내고, 이를 침전시킨 후 필터로 걸러내는 과정이 핵심이다. 연구팀은 먼저 리튬과 황, 촉매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리튬의 순차적인 용해 정도에 따라 리튬폴리설파이드와 황화리튬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를 3원소 및 4원소 고체전해질의 합성 공정에 적용하여 다양한 원료들이 빠르고 균질하게 용해·공침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공침법에 대한 정밀한 메커니즘 분석은 국내 최고의 대학 연구진이 맡았다. KAIST 변혜령 교수팀은 리튬의 용해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각 중간산물의 화학적 분석을 주도하면서, 같은 대학 백무현 교수팀과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서종철 교수팀의 양자 계산 및 음이온 질량 분석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분자 구조를 밝혀냈다. 이를 기반으로 ㈜대주전자재료는 실제 고체전해질 양산에 적용될 연속 공정에 관련 기술을 접목했다.
![]() |
이번 기술개발을 주도한 하윤철(왼쪽) 한국전기연구원 박사와 변혜령 KAIST 교수.[한국전기연구원 제공] |
이렇게 산·학·연의 꾸준한 협력으로 고체전해질 생산 시간을 14시간에서 4시간으로 대폭 줄일 수 있는 업그레이드형 공침법이 탄생한 것이다.
최적으로 합성된 고체전해질은 품질도 향상됐다. 기존 제조법들은 양산화 과정에서 낮은 이온전도도를 보여 고질적인 문제가 됐었다. 해당 고체전해질을 스마트폰 전지의 1/5 수준에 해당하는 700mAh 용량의 전고체전지 파우치셀에 적용하여 상용 리튬이온전지(270Wh/kg)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인 352Wh/kg를 달성했다. 뿐만 아니라 전고체전지를 1000회 충·방전한 실험 결과도 80% 이상의 용량을 유지해 안정적인 수명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하윤철 박사는 “업그레이드형은 공침법의 원리를 상세하게 분석해 최적화를 실현하고, 더 좋은 결과물도 만들어낸 성과”라며 “전고체전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하는 시대를 활짝 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