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의 도시 부산…영국 매체도 “멸종 위기” 경고

FT “부산, 젊은 세대 엑소더스의 고통 겪어”
“한국 정계 구조조정 역량 있는 징후 보이지 못해”

 

10일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젊은 인구가 빠져나가 ‘노인과 바다’로 불리는 부산광역시의 인구 문제에 해외 언론도 주목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9일(현지시간) ‘멸종 위기 : 한국 제2의 도시, 인구 재앙을 우려한다’라는 제목으로 부산의 고령화 문제를 짚었다.

11일 해당 보도를 보면 FT는 “부산은 산, 해변, 영화 축제 등 매력과 자산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도시지만, 세계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국가인 한국에서 다른 광역시보다 더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며 “20세기 이후 무역의 중심지였지만 지금은 젊은이들의 이탈로 인해 더 빨리 고령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1995년 이후 부산 인구가 60만명 줄었으며 65세 노인 인구 비율이 24%에 달하는 점,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선 도시로 평가한 점 등을 전달하며 “20세기 대부분 시기에 번창하는 무역과 산업의 중심지였던 부산은 이제 젊은 세대 엑소더스(대탈출)의 고통을 겪고 있다”고 했다.

특히 수도 서울이 국가 경제를 ‘중앙집권’하며 통제력을 강화함에 따라 이런 추세가 가속했다고 FT는 분석했다.

FT는 “한국 경제는 점점 수도권의 반도체 공장과 같이 더 정교한 제품 생산과 수출에서 동력을 얻게 됐고 대학과 연구기관도 숙련 노동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이전했다”며 “삼성과 LG 등 선두 기업의 탄생지이면서도 한국 100대 기업 중 본사를 부산에 둔 기업은 없다”고 했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은 매체에 “중국과 경쟁 속에 한국 산업과 경제의 중앙집권화는 더 심해졌다면서 이는 부산을 비롯한 지역 경제 중심지의 ‘연쇄 쇠퇴’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FT는 “서울의 젊은이들도 벌이가 양호한 일자리와 교육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에 결혼과 육아를 포기한다”며 “차이가 있다면 부산의 노동 연령 인구의 감소가 훨씬 더 급격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전히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여파에 정신이 분산된 한국 정계는 경제를 뿌리까지 구조조정을 할 역량이 있다는 징후를 거의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