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금융연구원 “5년뒤 국내 아파트 전체 주택의 70%”

‘주택시장 구조변화 장기전망’
지방 단독주택 줄고 공공아파트↑


저출생·고령화 속에서도 5년 뒤 국내 아파트 비중은 70%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23년 64.6%에서 5%포인트 가량 증가한다는 추정이다. 노후 아파트 증가로 지역에 따라선 재건축이 아닌 전면 철거를 선택하는 사례도 나온다는 관측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 주택금융연구원은 최근 ‘인구-주택-도시 변화를 고려한 주택시장 구조변화 장기 전망 연구’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향후 약 100만~130만호 이상의 물량이 공급돼 국내 아파트 비중이 2030년 70% 안팎이 될 것으로 봤다. 멸실, 빈집 증가, 재건축 등으로 인한 재고주택 변화는 고려하지 않은 전제에서다. 전체 주택 중 아파트 비중은 2000년 47.7%였는데 2010년 59%, 2020년 63%로 꾸준히 상승했다. 단독주택은 37.1%(2000년)에서 5년 뒤 10~15%로 비중이 낮아질 전망이다.

보고서는 “생산가능인구가 지속 감소하면서 임차수요에 대응하는 공공임대주택 중심의 공급이 이뤄질 것”이라며 “아파트 비중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노후 대단지 아파트의 광범위한 확산이라는 또 다른 도시적 문제와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인구 감소를 겪는 지방에서는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택 철거물량 증가가 예상됐다. 이는 기존 주택총량을 감소시키며 전국의 아파트 비중 증가를 심화시키게 된다.

보고서는 향후 노후 아파트 단지들이 늘어나면서 확대 재건축 방식이 아니라 유지·축소의 재건축, 지역에 따라 전면 철거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에서는 세대 수 축소 재건축이 이미 현재 진행형이다. 1969년 건설된 3326세대의 노후 단지인 도쿄도 고토구의 다츠미 잇초메 도영 맨션은 인구 감소 양상을 고려해 2960세대로 축소한 재건축이 이뤄지고 있다. 일본의 지방 아파트 단지들은 빈집 문제가 심각해 지면서 공실이 된 곳들을 철거하는 행정집행을 확대 및 적용하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는 “향후 수도권 일부 및 지방에서는 분담금 증가 등 노후 아파트단지의 재개발·재건축 진행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돼 정주여건의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시도가 필요하다”면서 “정주여건 상향과 일자리 유치에 성공하는 지역은 경쟁력을 회복해 인구유입이 가능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희량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