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AP] |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1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예고에 “유럽 기업과 근로자, 소비자 이익을 부당한 조처에서 보호하기 위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집행위는 이날 낸 성명에서 “EU 수출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본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또 “특히 대서양 무역·투자관계를 통해 구축된 EU와 미국 간 생산 사슬을 고려하면 관세 부과는 비합법적이며 경제적 역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집행위는 아울러 “관세는 본질적으로 (미국인에 대한) 세금”이라며 “기업 비용이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을 부추겨 경제 불확실성을 고조시키고 글로벌 시장의 효율성·통합성에 지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EU는 다만 현 단계에서 EU의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해 미국 정부 측의 공식 통보를 받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유럽 주요국도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전날 총선 TV토론에서 트럼프 관세에 대한 EU 차원의 대책이 있는지 묻자 “우리는 EU로서 1시간 안에 조치할 수 있다”고 답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기독민주당(CDU) 대표도 “우리 스스로를 작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영국을 포함한 유럽이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10일 TF1과 인터뷰에서 유럽이 “우리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뉴올리언스로 이동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날 중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세부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당시인 2018년 3월에도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 수입산 철강에 대해 25%, 알루미늄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EU는 강력히 반발하며 위스키·청바지·오토바이 등 60억 달러(약 9조원) 규모에 해당하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며 광범위한 무역분쟁이 촉발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