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핵심분야별 주요 과제 발굴
김, 수급안정화방안 3월까지 마련
중고단말거래 활성화 사업자 인증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배추·무 수급 안정화를 위해 가용물량 6000톤(t)을 확보해 4월까지 1만7000톤을 공급한다.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과 함께 경유, 압축천연가스(CNG) 등의 유가 연동보조금도 4월까지 연장한다.
![]() |
기획재정부 김범석 1차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2차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제39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민생경제점검TF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2차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민생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차관은 “가격 강세인 김은 구조적 수급 안정화 방안을 3월 중 마련할 것”이라며 “가공식품·외식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식품 원자재 할당관세, 구매자금 지원, 커피·코코아 수입부가세 면제 등의 지원 조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대포폰·대포통장 차단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대응체계 구축 등의 노력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필요 시 추가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해 알뜰폰 1만원대 20기가 요금제 출시를 지원하고, 중고단말 거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안심거래 사업자 인증제도를 3월부터 시행할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우리 경제는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 내수와 민생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1분기 민생·경제 대응플랜을 가동해 민생 핵심분야별 시급한 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서민 부담 경감 방안의 후속 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계 부처에는 “원팀이 돼 가격불안 품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선제적 수급관리를 통해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