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 대행 “尹 머리단장은 스타일리스트…국가 지원 없다”

김석우 대행 국회 법사위서 특혜 의혹 일축
“종전에도 정치인 화면에 등장한 경우 가능”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2025.02.11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김석우 법무부 장관 직무대행은 구속 기소된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기일에서 단정한 머리로 출석한 것을 두고 구치소 특혜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특별 대우는 없다”고 못박았다.

김 대행은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박 의원은 “윤 대통령은 수용자인데 머리 스타일링하고 장신구 시계, 이런 것을 착용했다는 것이 언론보도로 드러났다”며 “비용은 누가 지불하는가. 어떤 예산으로 하는가. 대통령실에서 비용을 지급하냐”라고 질문했다.

김석우 법무부 장관 직무대행이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


이에 김 대행은 “국가적으로 특별하게 비용을 지원해 준 사실은 없다”며 “헤어스타일 같은 경우 스타일리스트가 와서 하는데 종전에도 정치인 같은 경우 화면에 등장하거나 할 땐 기본적으로 가능했다. 복수의 사례가 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시계하고 가발 같은 것 왜 착용하게 했는가’라는 질문에 “확인할 사안인데, 관련 규정을 철저히 준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헌재에서 탄핵 심판 증인신문 도중 자리를 떠 대기실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점도 특혜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박 의원은 “탄핵 심판 받는다고 나와서 법정에 들어오지도 않고 구치소 돌아가지도 않고 대기실에 있었다”며 “어제(11일 7차 변론기일)도 4시 이후 증인신문을 하는데 나와보지도 않았다. (윤 대통령이) 대기실에서 뭐 하는지 모르겠다. 점심은 구치소 돌아가서 먹는지, 헌재에서 누구로부터 대접을 받는 것인지, 제대로 알 수도 없는데 교정을 제대로 하고 있나”라고 질타했다.

김 대행은 이에 대해서도 “관련 음식 시설 등은 다른 수용자와 차이가 없다”고 답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날 7차 변론기일에서 백종욱 국가정보원 3차장의 증인신문부터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6차 변론기일에도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의 증인신문 시간에도 자리를 비웠다.

한편 법무부는 대통령의 헌재 출석 전 대통령실이 서울구치소 측에 대통령으로서의 의전과 예우, 헌법 재판의 중요성 및 관심도 등을 고려해달라는 협조 요청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