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가계대출 10개월 만에 감소 전환…은행 주담대는 증가폭 확대

지난달 가계대출 9000억원 감소
지난해 3월 이후 첫 감소세 전환
“계절적 요인 영향, 안심하긴 일러”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지난달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감소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됐고 정책대출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가계부채 흐름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1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9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월별 가계대출이 감소 흐름을 보인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금융당국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명절 상여금, 겨울철 주택거래 둔화 등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했다.

지난달 주담대 증가액이 3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3조4000억원) 대비 소폭 줄었고 기타대출이 4조2000억원 줄며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내림폭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고 제2금융권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1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주담대의 경우 증가폭이 지난해 12월 8000억원에서 지난달 1조7000억원으로 많이 증가했다. 정책성 대출이 2조3000억원 늘며 증가세를 이어갔고 은행 자체 대출의 감소폭이 1조7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줄어든 영향이다.

은행권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1조1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2금융권 가계대출은 5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2조4000억원 증가와 비교하면 뚜렷한 감소세 전환이다. 신용대출의 감소폭이 3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크게 확대된 영향이다.

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권과 보험의 대출액이 각각 2000억원, 5000억원 줄며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여신전문금융회사는 감소폭이 30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증가폭이 1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은행권 주담대가 연초 영업 재개와 자율관리 완화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고 정책대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 중인 만큼 안심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본격적인 영업 개시와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더해져 2월부터는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주택시장·금리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건설투자 감소세가 지속되는 등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당분간은 지방으로의 자금공급 현황 등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