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 함평 황금박쥐 |
[헤럴드경제=이명수 기자] 연일 금값이 치솟자 ‘혈세 낭비’라는 비판을 받아 온 전남 함평의 황금박쥐상이 되레 ‘성공적인 투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기준 금 1g은 15만 8870원이다. 올해 1월 2일 1g당 12만 8790원보다 23%가 급등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해외 각국에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 안전자산을 찾는 수요가 늘면서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2008년 27억 원을 들여 제작한 함평 황금박쥐상 가격도 261억 5563만 원(금값 257억 3694만 원, 은값 4억 1840만 원)으로 올랐다.
당시 순금 162㎏에 27억 원, 은 281㎏에 1억 3000만 원 등 재룟값만 28억 3000만 원이 들어간 높이 2.18m, 폭 1.5m의 황금박쥐상을 두고 ‘혈세 낭비’란 지적이 쏟아졌다. 그러나 이제는 10배 수익을 눈앞에 두면서 ‘테슬라·엔비디아·비트코인’보다 성공적인 투자란 평가가 잇따른다.
황금박쥐상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1급인 황금박쥐 162마리가 1999년 함평군에 집단으로 서식한다는 것이 확인된 이후 이를 기념하기 위해 2005년에 제작에 착수, 2008년 완성됐다.
2019년에는 3인조 절도범들의 범행 표적이 되기도 했던 황금박쥐상은 16년간 황금박쥐생태전시관 지하에 보관돼 전시 기간에만 공개됐다. 그러나 지난 4월 함평나비대축제에 맞춰 함평엑스포공원 함평추억공작소 1층 특별전시관으로 옮겨져 연중 상시 관람이 가능해졌다.